데이터분석
참여자 184,336명
 · 
글쓰기
회원님, 일 관련 고민이나 업계 이슈에 대한 생각을 들려주세요!
최신글
라운지
파이썬 처음 공부할 때 어떤식으로 하셨나요?
저는 현재 8년차 간호사이고, 연구 및 데이터 분석 쪽으로 관심이 생겨 파이썬 + 통계 이론을 공부하고 있고 현업에서 일하는 분께 배우고 있습니다. 다만 고민이 기본부터 배우고 있긴하지만, 그 전에는 써보지 않았던 코드 형식을 요구할 때 또는 조금만 변형이 필요할 때 시도 조차 안되더라구요. 어떤식으로 공부해야 할 지 조금은 막막해서 작성해봅니다. 파이썬관련한 이론 책을 사서 처음엔 암기하듯이 하면 될까요? 🥲 다들 처음에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쟌쟌2 | 간호사
4일 전
조회수
735
좋아요
21
댓글
19
협업톡
데분 취준생인데요 스펙을 좀 더 쌓아야할까요?
우선 저는 지거국 4년제 데이터 융합 전공이고 학점은 4.5점 만점에 3.9점 어학은 토익 700 공모전 참여는 1번 (수상X) 학교수업/동아리에서 플젝 경험 2번 정도 있고 대외활동 경험이나 자격증은 없습니다.. 담학기가 막학기라 저도 취준을 시작해야할 것 같은데 ... 성과가 있는 프로젝트 경험이 많지 않은 것 같아 관련해서 스펙을 더 쌓아야 하는건지 고민되어 질문드립니다 어학은 오픽이나 토스 따고 adsp도 딸 생각입니다!!
쫩쫩 | 데이터 분석가
05월 07일
조회수
73
좋아요
0
댓글
2
라운지
면접에서 공백기 아닌 공백기 질문
안녕하세요, 정규직 면접이 며칠 후에 잡혀있습니다. 당시 제가 제출한 이력서는 금년 1월까지만 경력이 업데이트 되어있습니다(6개월 이하의 짧은 인턴입니다). 면접에서 이력서 보면 지난 2월부터 지금까지 무얼하고 있는지 물을텐데, 어떻게 답해야 할까요? 사실 4월부터 인턴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한 달도 안되었다보니, 이걸 이력서나 면접에서 언급하면 불이익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3개월도 안 했으면 배운 것도 없을텐데 왜 다른 회사에 지원했을까, 그것도 인턴이.."하며 말이죠. 1달도 채 안 된 이런 짧은 경력이라면 언급 안 하는게 맞지 않을까 싶은데요. 또 한 편으로는 지난 몇 주간 했던 일이 지금 면접 제의가 온 회사의 팀 소개 및 자격 요건과 부합하는 부분이 아주 일부 있긴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공백기 질문에 대해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는 답변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정규직은언제쯤 | 데이터 분석가
04월 24일
조회수
521
좋아요
1
댓글
1
라운지
이직 준비를 더 하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주니어를 갓 탈출한 4년차 직장인입니다. 이직 서류를 넣고 서류 합격 등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고 있는데, 다음 과정을 준비하면서도 그리고 공고를 보면서도 더 공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럴 상황에선 더 제 역량을 갈고 닦고 내년 초를 노리는 것이 좋을 지 고민이 됩니다. 이직을 해보신 선배님들의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이공이오오삼
동 따봉
 | 데이터 분석가
04월 22일
조회수
1,106
좋아요
48
댓글
38
라운지
데이터분석가 포트폴리오
직장에서 진행한 프로젝트 같은 경우엔 공개할 수 없는 부분들이 많아서 포트폴리오보단 경력기술서에 어떤 업무를 했고 어떤 성과를 얻었는지 수치화하는 식으로 기입을 했는데요 포트폴리오 필수제출인 곳이 꽤 많더라구요 개인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포트폴리오를 작성해보려고 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이트가 혹시 있을까요???
똥틀벨 | 데이터 분석가
04월 19일
조회수
404
좋아요
1
댓글
0
라운지
개발/데이터 직군 데이터분석가 vs 경영/비즈니스 데이터분석가 차이
원래 java 백엔드 개발자를 준비하고 있었고 이전 회사도 백엔드 개발자로 들어갔는데 어떻게 하다보니 4년간 데이터 관련 업무를 하게 되어서 이직을 데이터 분석 쪽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 분석가로 채용 공고를 찾고 지원하는게 처음이라 채용공고를 보다보니 궁금한게 하나 생겨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데이터분석가 채용 공고를 보다보니까 채용 공고 제목은 데이터 분석가 인데 직군이 개발/데이터 직군인 공고가 있고, 경영/비즈니스 직군인 공고가 있기도 하더라구요 아니면 '데이터분석가(business data analyst)' 혹은 business analyst 이런식으로 공고 제목이 기재되어있는 경우가 많던데 제가 보기엔 업무 내용은 크게 달라보이지 않는데 뭔가 경영/비즈니스 직군에 속한 데이터 분석은 개발보단 마케팅, 비즈니스 같은 쪽의 지식이 많이 필요하고 그런 쪽의 업무가 더 많을 것 같은? 느낌이라서 뭔가 선뜻 지원을 못하고 있는데 직군에 따라 업무가 많이 상이할까요...??
똥틀벨 | 데이터 분석가
04월 19일
조회수
265
좋아요
3
댓글
3
라운지
인턴 2주만에 퇴사?
다른 회사 정규직 합격한다면, 인턴 시작한지 2주도 안 되서 퇴사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며칠 전 입사해서 인턴생활중인데요. 인턴 시작 이틀 전에 다른 회사의 정규직 포지션 최종 면접을 봤습니다. 늦어도 다음 주 초에 합불 결과를 알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떨어진다면 아무 문제 없지만, 붙는다면 고민이 클 것 같습니다. [인턴] - 6개월 전환형 - 직무 상 가장 기초 베이스 업무 담당 - 정규직 전환시의 연봉을 안내받았음(엄청 높지는 않으나 절대 낮지는 않은 편) - 100명 이상의 인원 - 매출 성장세가 몇년 전부터 높으며 최소 내년까지도 큰 상승 보장 - 트럼프 관세 영향이 어느 정도는 있을 것으로 예상 [정규직] - 정확한 연봉은 모르나, 위 인턴의 정규직 전환시 연봉보다 조금 낮을 것으로 예상 - 직무 성장 가능성이 높은 내용들로 업무(JD) 구성 - 30명 내외의 인원 - 매출이 그리 높지는 않은 듯 함. - 이쪽 업계(직무)에 유명한 전문가분이 팀장급으로 계심 또 한 가지 문제는 '금지 조약' 인데요. 이 인턴 과정에 날인한 계약서 내용 중 "퇴직 후 1년간, 회사 승낙없이 본 사의 제품(서비스)과 경쟁관계에 있는 법인에 직간접적으로 종사하지 못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위에 설명드린 두 회사가 업종은 전혀 다르지만, 지원한 직무는 거의 동일해서 맘에 걸립니다. 이 부분은 꼭 이번 회사가 아니더라도, 추후 인턴 생활중 다른 회사의 유사 직무에 지원 후 합격했을 때에도 마찬가지의 고민입니다. 정규직 포지션의 회사로부터 합격 통보시 현재 인턴을 며칠만에 퇴사하고 이직(?)이 법적으로 가능한지 그리고 갈 만한 가치가 있는지 궁금해요
정규직은언제쯤 | 데이터 분석가
04월 08일
조회수
740
좋아요
15
댓글
20
라운지
불합격됐는데 채용담당자가 직접 보낸 공고가 왔습니다.
불합격된 것은 한달반정도 전 일입니다. 어제 채용담당자가 직접 보낸 공고로 같은 직무가 왔습니다. 이런 경우에 자동으로 보내진건지 다시 지원해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ㅎㅎㅎㅎㅎ123 | 사업분석(BA)
04월 08일
조회수
1,670
좋아요
0
댓글
3
협업톡
심사원 교육
국제심사원 자격취득하시어 전문가로 활동하시어 노후을 준비하세요. 정년이 없는 전문직업인 ISO심사원에 도전하세요. 010-9107-5594 장흥수교육원장
짱골교수 | 인문·사회·경제
04월 06일
조회수
32
좋아요
1
댓글
0
라운지
,none
시작인감
gopa | 사업전략·기획
03월 23일
조회수
41
좋아요
0
댓글
0
라운지
회사에서 아무하고도 얘기 안 하는 저, 괜찮을까요
회사 입사한지는 4년정도 되었구요… 여러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서 점심도 자의적 타의적으로 항상 혼자 먹고, 업무도 중요한 업무가 아니고 허드렛일이라 다른 팀 사람들하고 말할 기회가 전혀 없어요 서로가 전혀 필요하지 않은 상황? ㅎㅎ 회사 내에서 누구하고도 교류를 안 하는데요. 이대로 지내는 거 괜찮을까요 ㅠㅠ? 사람이 사회적인 동물이다보니 외로운건 둘째치고 말을 너무 안 해서 혀가 굳는 기분입니다. 심할 땐 일주일동안 말 안 하기도 해요..뭐 커피 주문이나 복도 지나면서 마주치면 하는 안녕하세요 빼고? 가족들하고도 자주 연락하는 편이 아닙니다. 저희 부모님은 너무 자주 연락하면 피곤해하시는 성향..😅 친구들은 다 외국에 있고 (외국에서 태어나서 20중반에 한국옴) 다들 육아하느라 바빠서 연락을 해도 읽씹이 대부분….. 소모임이나 운동모임도..가입은 많이하는데 주7일같은 주6일 회사를 다녀서 집안일 하기도 벅찬 상태..🥲 딱히 살아가는데 큰 문제는 없지만 이대로 괜찮나 하는 생각이…. 예전엔 너무 외로워서 이런 익명 커뮤니티에 글도 자주 올리고 그랬었는데 사람들이 그런 거 하지말라해서..뭔가 읽고 듣는 능력만 유지되고 말하고 쓰는 능력은 퇴화되는 기분이예요 ㅜㅜ 어떡하죠..
뿌앵앵
은 따봉
 | 전략기획(Corporate)
03월 14일
조회수
1,483
좋아요
36
댓글
24
라운지
[데분/데싸] 현재 업무에 만족하는분 계신가요?
학사,석사 전공도 데분/데싸랑 관련되고 경력도 이전 회사에서는 관련 되는 업무였는데 옮긴회사에서는 몇년간 하는 업무들이 점점 관련없거나 분석같지도 않고 숫자 끼워 맞추는 심부름 하는것 같아 성장도 없고 의욕도 점점 없어지네요. 앞으로도 여기선 이렇게 지낼것 같습니다. 데분/데싸 업무적으로 만족하시는분 계실까요? 만족하시거나 만족하셨던 회사 추천 해주세요
갈길잃은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01월 05일
조회수
1,187
좋아요
34
댓글
15
라운지
의견 부탁 드려드립니다
제가 예전에 진행하던 프로젝트로 팀장님이 본인 박사 논문을 쓰고 싶다고 도와달라고 하시는데 문제가 될 것 같아 고민입니다. 도와주면 학술지에 낼때 이름을 넣어 주신다고 하는데 제 입장에서는 필요 없는 성과이고 사적인 부탁이라 참 애매합니다.
뾰로롱이 | 마케팅 전략·기획
01월 01일
조회수
1,222
좋아요
32
댓글
23
라운지
투표 무시받고 연봉많이 받기vs인정받고 연봉 적당히받기
어떤 회사를 선택하시겠습니ㄲㅏ ㅎ
아침엔연두부 | 마케팅 전략·기획
24년 12월 23일
조회수
971
좋아요
17
댓글
22
라운지
나이36, 공백기 3년.. 데이터 쪽으로 취업 가능한가요?
전체 타임라인은 밑에 한번더 정리해놓았습니다. 20대 후반에 이공계 대기업에서 1년 반정도 경험 후 직무를 바꾸기 위해 퇴사했었습니다. 어떻게 하다보니 잘 안됐고 그렇게 2년 정도 공백 후에 일단 뭐라도 해야겠다 싶어 직무 완전히 바꿔서 it 스타트업에서 pm으로 근무 했었습니다. 너무 적성에 안맞았지만 회사도 한번 옮기면서 이 직무도 1년 10개월 정도 하다 퇴사후 바로 개인 카페를 1년 정도 운영했습니다. 이때 카페를 시작한 나이가 33살 입니다. 예전부터 회사를 다니면서도 차라리 데이터와 관련된 일을 하는게 적성에 더 맞는것 같아 회사에 다시 취직하게 된다면 데이터 직무 쪽으로 가는게 그나마 낫겠다고 생각은 했었습니다. 그렇게 카페를 접고 여러 고민끝에 데이터 관련 부트 캠프도 수료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때에도 예전부터 항상 미련이 남는 전문직 분야가 있어 해당 분야에 도전을 안해보면 너무 후회할 것 같아 1년 정도 준비하니 어느덧 36입니다. 이제는 돈도 없고 이렇게 경험을 해보니 미련도 남지 않아 오히려 마음이 홀가분해졌습니다. 그리고 더이상 이렇게 불안하게 살고싶지 않아 이제라도 마음을 다시 잡고 데이터 분석 직무로 다시 시작하고 싶은데 36살 나이에 데이터 직무로 커리어를 다시 시작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너무 어렵나요? 살다보니 뭔가 꾸준히 하나의 방향성을 갖고 살아왔다기 보다는 너무 여러 영역들을 다 조금씩 맛본것 같아 다른 사람들이 봤을 때는 너무 방황만 하는 것 처럼 보이고 나이도 많다고 생각할까봐 다른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타임라인은 대략 이렇습니다. - 대기업 엔지니어 1년 6개월(20대 후반) - (공백기 2년) - it 스타트업 pm 1년 10개월(30대 초반) - 카페 운영 10개월(33~34) - 이후 1년기간: 데이터 직무 부트캠프 수료 및 프리랜서로 웹페이지 제작 가끔씩 진행 - 1년 조금 넘는 기간동안 다른 전문직종 자격증 따는것에 투자 - 36살: 미련 버리고 데이터 직군으로 재 취업하고자함 대기업 이후 공백기는 공백기라고 하기엔 이후 pm으로 일했어서 해당 공백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마지막 회사 커리어 기준으로 자영업한 기간을 포함하면 공백기가 3년 정도 되고 자영업을 제외하면 2년 정도 되는것 같습니다.
두둥실실 | 서비스운영
24년 12월 15일
조회수
776
좋아요
7
댓글
6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