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앱을 설치하고 오늘 가장 인기있는 글을 받아보세요
오늘 가장 인기있는 회사생활 소식을 받아보는 방법!
글쓰기
최신글
ai 수익 자동화 광고.... 이거 뭔가요?
사짜 광고 같은데...
햄버거돌이
11.21
조회수
63
좋아요
0
댓글
1
데이터분석 알바나 부업을 하려면...
회사생활 내내 회사데이터 요약 정리를 한 경험으로, 데이터과학 대학과정을 마치고, 늦은 나이지만 대학원 진학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하는 공부라 방통대가 제일 도움이 되었네요. 기왕 배운 거, 이제 조금씩이라도 써먹고자 합니다. 숨고에 이름만 올리고, 통계분석, 데이터분석 제목만 올렸는데 요청이 오긴 하네요. 혹시 숨고로 부업을 하시는 선배님이 계시면, 필요한 자격이나 업무요청 수준, 업무요청량에 대한 조언을 구합니다. 회사생활을 통해 회계, 생산, 영업데이터 요약 보고가 주업무여서 엑셀은 곧잘 다루고, 대학과정을 하면서 R, Python도 총.중급 정도는 되고, SPSS 도 사용은 할 줄 알구요. 통계.데이터과학과라 폭넓게 기초적인 내용은 배웠네요. 저는 그저 부업이나 알바로, 본격적인 데이터분석 실무환경도 경험해 보고 싶고 남는 시간 용돈도 벌어가면서 지식을 쓰려는 생각입니다. 회사와 병행이라 많은 시간 투입하기는 힘든 환경이구요. 고언을 요청드립니다.
바우데기
11.09
조회수
697
좋아요
4
댓글
2
데이터 관리 관련 문의드립니다
회사가 현재 데이터 수집을 하고 있는데요, 약 5가지 데이터를 한 세트로 해서 지금 200만 set 이상 데이터를 모았습니다. 문제는 이 데이터를 그냥 쌓아놓기만 하고 가공이나 이런 걸 하지 않고 있어요. 판매망에 올려놓긴 했지만, 판매가 안되고 있고요. 이런 상황에서 데이터를 좀 더 잘 팔리도록, 아니면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데이터 관련해서는 전 Adsp 자격증이나 사조사2급 자격 뿐이라 잘 감이 안 잡히네요.... 혹시 공부해야 할 것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햄버거돌이
10.23
조회수
712
좋아요
2
댓글
13
추천해주실만한 커리어나 회사가 있을까요..
현재 재무회계 관련 일을 하고 있는데 원래 데이터 분석, 데이터 과학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저연차라서 더 늦기 전에 이직을 계획하고 있는데 아래 역량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분야에 도전할 수 있을까요? 회사마다, 산업마다 특성도 다르고 하여 리멤버에도 여쭤보게 됐습니다. - 파이썬(pandas, numpy), SQL 데이터 분석 역량이 있습니다. - 비전공자이지만 학부때 선형대수, 미적분, 수리통계, 최적화 이론을 이수했습니다. - 재무/회계 모델링 업무에 익숙합니다. - PPT 작성 및 비즈니스 데이터 리포팅 역량이 높은 편입니다 (GA, Tableau, Amplitude 등 애널리틱스 UX에 익숙) 물론 코딩 테스트도 중요한 것을 알고 있습니다만 석사 학위도 별도로 필요할까요? 이직을 원하는 산업은 금융 또는 IT 입니다!
capetown
10.04
조회수
495
좋아요
3
댓글
2
팀장으로 올라가기
안녕하세요 8년차 직장인입니다 슬슬 팀장을 해야하는데요 지금 있는 곳에서는 희망이 없어 보여서 다른 곳으로 갈까하는데 팀장 공고가 아예 안보이네요 대기업에서 팀장급하려면 보통 어떤 경로로 가나요?
방탕중년단
09.24
조회수
1,629
좋아요
4
댓글
11
생성형AI
SMART CLOUD SHOW 2023 beyond AI 웨스틴 조선호텔 Jerry Kaplan 인공지능의 미래 Marco Pavone 스탠포드대학교 항공우주학과 교수 엔비디아 Eric Allison 조비에이에이션 부사장 #생성형AI
이종철 | (주)제이씨앤컴퍼니
09.21
조회수
85
좋아요
1
댓글
0
직종변경 후 자신감이 떨어지네요 ㅠ
전공으로 취업해서 항상 회사에서 인정받았지만, 회사의 비효율적이고 발전가능성이 없는 업무로 고민했었습니다. 우련히 IT쪽의 교육을 듣고나서 인공지능과 관련한 일을 배워 기존의 전공에 접목하는 일을 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회사 퇴사 후 국비교육을 들었습니다. 국비교육 듣는 중에도 나름 열심히해서 조장도 하고 발표도 자주했는데 역시 회사는 다르더라구요. 전공과 접목하는 일은 석사 이후에 가능할 꺼같아서 현재는 그냥 IT 개발 회사에 취업했습니다. 그런데 취업 후 대표한테 거의 매일 욕먹고 저를 안좋아하는 게 너무 보여서 버티기가 힘들더라구요. 남들보다 조금 더 빨리 출근하고 늦게 퇴근하면서 더 열심히하는 모습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는데 한번 안좋게 본 인식은 잘 안바뀌는거 같습니다. 3개월 계약직이라 한달 후 끝나는데 대표도 아쉬워하진 않는거 같고 오히려 좋아하는 느낌이였습니다. 그러면서 제 자신감이 많이 떨어졌습니다. 항상 뭐든 열심히 잘하려고 했고 결과도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했는데 이때까지 헛살았나 싶기도하네요..ㅠ 직종을 괜히 변경한건 아닌지 이전 직장은 사람들과도 굉장히 사이가 좋았어서 그만둔게 후회가 가끔됩니다. 그럴때마다 내가 어떤마음을 그만뒀는지가 생각나서 더 현타가 오네요. 현실적인 조언부탁드리겠습니다.
han22
08.30
조회수
604
좋아요
6
댓글
2
현금 20억으로 효율적인 수익을 내려면
현금 20억으로 가장 효율적인 수익을 내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시간의승리자
08.21
조회수
132
좋아요
0
댓글
0
커리어 고민입니다
저는 학부 수학전공하고, 대학원에선 통계모델링을 전공했습니다. 이후엔 6개월 1.6년 11개월 이렇게 si회사를 다니면서 데이터 분석 모델링을 했구요. 현재 스타트업에 2년째재직중입니다 처음엔 데싸로 입사했는데, 현재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일을 하고 있어요. 어떻게보면 분석도 할줄할고, 개발도 할줄아는것으로 보이지만.. 제가 생각할땐 회사다니면서 쌓은 분석 포트폴리오도 없고..( 다 대학원때 한 포폴로 회사 지원하고 있어요) 개발도 지식을 쌓고 한게 아니라, 업무에 필요한 몇가지 지식으로 하는 중이라.. 어필하기가 어렵네요ㅠ 현재 파트타임 박사로 논문준비중이고 분야는 ai가 될것 같습니다. (1년이내 졸업) 현재 지원하는 회사들이 다 서류에서 떨어지고 있어서 고민이 많습니다.. 이도저도 아닌 커리어를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까요..
프셈
08.20
조회수
460
좋아요
1
댓글
1
지속되는 노가다성 업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중소 데이터 공급, 솔루션 업체에서 입사 2년차 주니어 분석가...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SaaS, DaaS 서비스에 투입되고 있는데요, SaaS 기획, 분석할 때는 ML/DL 관련 패키지도 써보고 python 활용해 모듈이나 지표도 개발하는 등 나름 커리어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남기면서 일하는 것 같은데 DaaS(보통 대기업 ai모델이나 분석보고서 작성용 수집 데이터 하청입니다) 사업만 들어오면....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고 분류하는 단순 반복, 노가다성 데이터 정제, 라벨링 작업만 진행합니다... 근 1년 간 DaaS사업만 반복적으로 진행하다보니 점점 제가 뭘 하고 있는건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이런 패턴이 계속 이어지면 그 끝에 다른 대기업 신입으로 넣기엔 애매한 나이와, 경력으로 넣기엔 초라한 경험밖에 남지 않을까봐 불안합니다... 요즘 특히 DaaS 서비스가 몰리다보니 더더욱 괴롭네요... 제 노동력을 갈아서 수작업으로 만든 데이터를 받아가는 고객사 분석가/AI엔지니어들은 저보다 훨씬 고차원적인 업무를 수행하면서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만들어내고 있겠지요...? 제가 이럴 시간에 계속 발전하고 있는 타사 분석가/엔지니어들을 생각하면 그 경험들을, 성과들을 어떻게 따라잡지 싶어 막막하기만 합니다. 을의 입장에 있는 업체라서 그런걸까요.. 아님 분석가라는 직무가 원래 이런건가요...(분석 직무 계신분들 경험과 의견이 궁금합니다) 갑에 위치에 있는 기업에 가면 달라질 수 있을까요? 아님 더 공부를 해서 직무를 바꿔야하나요? 모르겠습니다.
회원1234
08.04
조회수
749
좋아요
5
댓글
4
AI Query Tool 사용해 보실 분 모집합니다!
📈안녕하세요! 저희는 한국어 최적화된 'AI Query Tool' 제작을 통해 SQL문의 단순 반복 작업 시간을 줄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베타테스트를 진행 중인 Horus팀입니다. 📣보다 완성적인 제품 개발을 위해, [SQL Tool 사용성 테스트]를 수행해주실 SQL 이용 데이터 분석 담당자 분을 모십니다! 🔴[ 사용성 테스트 ] 1. Horus팀이 SQL Tool ('Text 2 SQL' 혹은 'AI Query')을 결제 및 제공해 드리면, 2. 해당 SQL Tool을 사용하고, 느낀점 혹은 불편한점을 리포트 해주시면 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 노션페이지를 확인해 주세요 https://bit.ly/3QhKT63 ❗신청하기 링크 https://bit.ly/3K33Nt8
고옴
07.17
조회수
567
좋아요
8
댓글
0
보통 회사의 "데이터 관리 및 분석" 방법론
안녕하세요, 이커머스 산업의 엑셀 수작업을 모조리 없애고 모든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자동화 대시보드 사업을 하고 있는 cigro PO입니다. 이커머스 회사가 아니어도 좋습니다. 여러분들께서 재직중인 보통 회사에서는, 1. 데이터 수집(파이프라인 구축) 2. 데이터 가공 3.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4. 인사이트 도출 상위 4가지 과정을 "어떤 방식으로 구축해나가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각자의 포지션에서 각 스텝별 모든 프로세스를 알고 계시진 않겠지만, "어떤 팀"에서 "어떤 단계"를 진행하고, 각 단계에서 "어떤 툴"을 쓰시는지, 데이터는 어디까지 공개되며 운영 차원에서 "효율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있으신가요? 그리고 정말 보통의 회사에서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를 잘 도출하는 것 같으신가요? 아니라면 병목은 어디서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성규 | cigro
07.07
조회수
592
좋아요
3
댓글
4
클라우드 서버 구축 하려는데
접속자 와 데이터 양 등을 고려해야하는데 기준표 같은 또는 계산 방식등 있을까요 최소사양 구축해서 사용양에 따라 눌리기에는 너무 비효율적인데 예측 또는 계산 방법이 있으면 좋겠어오. java. jsp web 서버 입니다
전설의한국인
07.06
조회수
377
좋아요
3
댓글
2
동일 산업군으로 이동시 다른 산업군 가기 힘들까요?
안녕하세요 현재 식품산업 중소기업에서 데이터 분석가로 일하고 있습니다 지금 회사가 작기도 하고 데이터 쪽으로 발전하기 쉽지 않을 것 같아서 이직하려고 하는데, 앱/모바일 데이터 분석쪽으로 이직하고 싶습니다 근데 좀 빨리 이직하고 싶은데 현재 식품제조 중견기업 데이터 분석 쪽으로 헤드헌팅이 들어와서 지원해볼까 고민중입니다 걱정되는 점은 식품 쪽으로 이직시 동일 산업군 내에서 커리어가 굳어지면 나중에 프로덕트분석이나 앱 데이터 분석 쪽으로 산업군 전환을 할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서 질문남깁니다. 아직 연차가 낮고 면접을 많이 봐본 적이 없어서 선배님들 조언이 궁금합니다 ,, 🥹
dkfjjwla
06.27
조회수
189
좋아요
0
댓글
0
이직 한 달 째, 퇴사 타이밍
안녕하세요. 고민이 있어 글 남깁니다. 1. 경력기술서에는 한 달을 기재하는가? 2. 기재하지 않는다면, 면접에서도 먼저 묻지 않는 이상 말하지 않는 게 옳은가? 3. 이번 달까지만 다닐 생각인데, 3일 전에 말해도 되는가..(내일 말하면 5일간 눈치 봐야하는 게 힘들어서요. 제가 맡은 업무가 없어 인수인계 할 건은 없습니다.) -------- 여기서는 제 이야기입니다 ------ 저는 첫 직장에서 재직 중 이직을 준비하다, 업무과중 + 건강악화로 퇴사 후 한 달의 공백기를 가졌습니다. 그리고 현 직장으로 이직했습니다. 처음에는 이 곳에 다닐 생각이 없었지만, 면접관에게 들은 업무 내용에 "여기에 다니는 게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입사했습니다. 제 직장이 중소에서 중견으로 커진 것도 좋았구요. 그러나 그 생각은 입사한 다음 주에 깨졌습니다. 기업 규모에 비해 엉망진창인 시스템 군대 문화가 존재하는 팀 문화(팀바팀인 것 압니다. 같은 층에서 다른 팀은 칼퇴합니다. 저희 팀은 실장님이 퇴근한 이후에 가능해요. 그 외 다수.) 주말/공휴일 출근 강요 눈치 안 주는 듯 계속 주는 팀 분위기 처음엔 수습기간이라도 채워보자 했는데, 주말/공휴일 출근을 강요하는 것보고 더 못 다니겠더라고요. 전 직장에서도 동일 사유 때문에 건강이 많이 나빠져서 퇴사했습니다. 제가 리스크를 감당하고 이직한 이유가 사라졌어요. 직무도 원하던 것과 좀 달라 일에 흥미가 안 생기는 것도 요인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맨 위에 작성한 고민들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조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미먀묘
06.25
조회수
731
좋아요
0
댓글
3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Drama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