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최신글
아버지의 직장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버지의 직장을 찾아드려보려고 합니다. 아버지께서 연세가 있으셔서 일을 그만 두셨지만 아직까지 개발을 하고 싶으시다고 계속 말씀을 하시다 보니 고민하다 글을 적어봅니다. 30년 이상의 개발자 경력을 가지고 계시며 주로 병원쪽(Big 5 병원 및 대학병원) EMR 시스템, 원무 파트 개발을 하셨으며, 감사원에서 DBA로도 일을 하셨습니다. 최근에는 Flutter 활용해서 어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 하시기도 하셧습니다. 주로 C#, ASP.Net를 활용하셨고 Flutter 개발도 가능하십니다. 개발만 하시던 분이 갑자기 포장 알바를 히시는 것을 보고 글을 적어봅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푸푸푹
금 따봉
03.09
조회수
4,815
좋아요
179
댓글
108
백엔드 신입 구직 관련 고민
안녕하세요. 이제 컴퓨터공학과 3학년 올라가는 대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닌, 제가 공익 판정이기에 병역특례로 구직을 도전하고자 합니다. 이번 학기는 대학교를 다니지만, 빠르면 이번학기 이후(6-7월), 늦어도 올해 안에 구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제 3학년 올라가는만큼, 솔직히 개발 프로젝트 경험이 거의 없는 수준입니다.. 학교 수업만 열심히 듣고 있었지, 자신만의 개발은 거의 없었습니다. 구직할 때 필요한 스킬과 대학교에서 학습하고 배우는 스킬은 서로 다른점이 많잖아요? 그래서 지금부터라도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조언을 받고 싶습니다.. 아래는 간략하게 현재 상황을 적어봤습니다. - 산학협력 프로젝트 진행(2024.03 - 2024.12). Stable Diffusion 모델을 특정 도메인에 집중시켜 학습 및 논문 작성 - 학부연구생 진행 (2025.03-2025.06(예정)). 분산시스템에서 key-value형식 대용량 데이터 처리 논문을 읽고, 솔루션 도출. - 웹 수업 수강 (근데 제가봐도 정말 의미없습니다) - 백엔드 관련 동아리 부원 (2025.03-) - OS, DB, data structure, 멀티코어 시스템 등 과목 수강. - 알고리즘, 네트워크 수업 미수강 - DX B형 취득 - 백준 다이아5
와니시아
03.08
조회수
265
좋아요
13
댓글
11
팀내 KPI 측정 방식에 의문점
5년차 되는 sm업무 대리입니다 회사에 소속한 팀내KPI방식에 의문점이 있어서 여기 올려봅니다 두서없이 설명이 미흡할수 있는점 양해바랍니다 하나의 사이트에서 다양한 시스템을 다루는 팀이 아니라 여러 사이트의 다양한 시스템을 다루는 팀에 속해있음. 예를들어 같은팀 (마구잡이로 작성한거를 감안해주세요) A파트 - 알파회사 운영 사이트,데이터관리 고객100만명, 데이터량: 50TB, TPS : 1000 B파트 - 베타회사 운영 사이트,데이터관리 고객 1000명, 데이터량 : 1TB, TPS : 5 같은 팀이라도 맡은 사이트에 따라 고객이 작은 사이트, 데이터규모가 다른 사이트 마다 업무강도, 업무총량에 차이가 큼 업무성과측정 중에 업무장애건수, 장애범위에 따라 감점하는 KPI가 존재 품질관리에서도 업무수행의 품질관리 정도에 따라 감점 같은팀 내에 작은사이트를 담당하는 파트는 업무총량도 작고 강도도 낮아 장애발생수도 낮거나 없을뿐더러 총량이 작으니 품질관리에서도 감점 받을 확률이 낮음 이런 성과측정이 맞는방법인건지? ‐--------------------------------- 갑작스럽게 많이 달렸네요 주니어의 고민에 다들 정성스레 고민해주시고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평가에 팀장님과 면담하면서 의견 피력해보고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알지못하는 부분도 있고 윗쪽에서 보정하는 부분도 있다고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서 단지 푸념적인 말을 해보았습니다. 평가가 어떤 조직이냐이 적용이 다 다르니까 정답은 없는 것 같네요 관심 감사드립니다🥲
골치아프다
금 따봉
03.08
조회수
6,361
좋아요
147
댓글
59
이럴땐 어떤 계약서를 써야 하나요?
현재 근무하던 온라인 서비스 사업을 타 업체로 양도진행 중이고, 저는 근무지를 다른곳으로 옮겼습니다. 담당하던 업무는 온라인 서비스 전반적인 개발 및 유지보수, 업체 계약 등의 업무를 맡았었고요 새로 양도 하는 곳에서도 동일한 서비스를 운영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아직 인력 구축이 제대로 되지않아 초기 서비스 개시관련한 지원을 요청받은 상태입니다. 약 3개월 정도 서비스 오픈관련해서 도움을 줄것으로 예상됩니다. 업무량은 하루종일 매달리는 일은 아니고 오픈이후 이슈 발생정도에 대한 지원 요청입니다. 현 근무지에서도 이 사항은 인지하고 있으며, 지원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허락한 상태입니다. 이럴때, 단기용역계약서 같은 양식으로 작성해서 근무기간, 임금등을 작성하는게 서로 좋을거 같은데 이게 맞겠죠?
우르르쾅쾅
03.07
조회수
511
좋아요
1
댓글
2
요즘 20년차 이상 이직 현황은 어떤가요?
궁금
시간을달려서이직
동 따봉
03.06
조회수
2,337
좋아요
44
댓글
29
IT) 프로덕트 디자이너 인하우스에서 에이전시 이직 어떻게 생각하세요?
안녕하세요, 중견기업 인하우스에서 Product Design 직무로 일을 하다가 현재는 퇴사하여 이직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연차는 아직 2년 미만이라 신입부터 1-2년차 경력 공고까지 폭넓게 살펴보고 있습니다. 최근 신생 에이전시에서 오퍼 연락이 왔습니다. 메이저 대기업 개발자 출신으로 이루어진 젊은 조직이고 실력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레벨업하기 좋은 회사라고 생각하여 이직을 고민 중입니다. 높은 연봉은 아니지만 4300 제시 받았습니다. 다만, Product Design 직무 특성상 UI 디자인 스킬 보다는 데이터 지표를 살펴보고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고민하는 과정을 차후 포폴에 녹여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에이전시 환경에서 이는 힘들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경력을 쌓고 3-5년차 지점에서 대기업 프로덕트 디자인 직무로 이직을 시도할 예정인데, 에이전시 출신이 커리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프로덕트프로덕트
03.06
조회수
999
좋아요
5
댓글
4
서비스기획 평가 기준?
팀장으로 온지 몇 일만에 인사 고과 관련 진행사항을 받았네요. 이전 겸임자분이 평가한 결과만 일단은 알고 계셔라 수준인데. 벌써부터 평가에 대한 고민이 되네요 미리미리 평가기준 정하고 팀원들한테도 저는 이런 기준으로 평가할테니 인지하고 업무하세요 해야하는데... 따로 기준 잡고 계신 분 있으신가요??
ㅋlㅋl
금 따봉
03.04
조회수
3,949
좋아요
32
댓글
19
투표 개발자 이직 vs 스테이
현재 회사 이직 회사 회사 규모는 또이또이한데 출퇴근이 좀 많이 빡세져서 이직이 고민됩니다…선배님들 고견 부탁드립니다
주먹대장
은 따봉
02.28
조회수
3,084
좋아요
54
댓글
36
개발자 이직
안녕하세요 현재 중견기업 재직 중인 6년차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지금 일하는 곳에서 재밌게 일하고 많이 배웠지만 .. 회사가 어려워지면서 만연해져버린 “굳이?”에 두손두발 다들고 이제 떠나려고 해요 다만 이직 준비를 한지 거진 7개월이 넘어가는데 참 요즘 쉽지가 않더라구요 지금 연차가 아니면 대기업 갈 기회가 적을거라 생각해서 큰기업 위주로 지원을 했는데.. 다 잘 안됐어요 결국 시리즈 C 정도되는 스타트업 몇개 최합을 받은 상태입니다 그 회사가 별로라는 말은 절대 아닙니다만 이쯤에서 타협하는게 과연 맞을까 싶네요 얼마나 길어질지(그리고 될지 안될지)도 모르는데 맨날 회사와서 하는 것 없이 앉아있을 바에 가서 더 배우고 기회되면 다시 준비하는 게 나을지.. 아님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좀 더 준비하는게 나을지.. 연차가 애매하다 보니 고민이 됩니다 대기업을 꼭 가야하나? 타이틀이 중요한가? 라고 하면 타이틀 때문만은 아닙니다 곧 시니어가 될텐데 큰 조직을 경험해봐야 관리 측면의 시야가 넓어질 거라 생각했어요 주저리 주저리 말이 많았는데 아는 동료, 후배라 생각해주시고 가감없이 의견 말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ouz
동 따봉
02.27
조회수
2,154
좋아요
44
댓글
31
OT 시간 계산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여기 계신 분들은 각자 회사에서 OT 시간 계산을 어떻게 하나요? 우리 회사는 모 대기업 하청 업체입니다. 원래 시간외 근무수당을 주지 않아 신경 안 쓰고 있었는데 고객사가 OT 8시간을 채우면 1일 휴무를 시행 중입니다. 덩달아 저희도 그걸 따라 하는데 문제는 기준 시간입니다. 고객사는 제약 없이 초과 근무 시간 합산입니다. 우리 회사는 30분 단위로 시간 인정을 해줍니다. 59분 초과 근무를 해도 30분만 인정합니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8시간 채우려고 야근을 합니다. 우리 회사는 지방에 있고 직원들은 대부분 그 지방에 삽니다. 그래서 30분 일찍 출근해서 매일 30분 인정 받고 야근 안합니다. 저 포함 몇명 직원들은 타지역에 살아서 야근 말곤 방법이 없습니다. 원래 우리 회사 규정도 아니고 따라 한다 해도 고객사는 30분 단위 인정 같은 제약 사항도 없는데 왜 우리 회사는 스스로 제약을 걸어 두는지 모르겠습니다. 30분 단위 근무 시간 인정하려면 지각도 30분 단위로 끊어 지각 인정을 해야 하는거 아닐까요? 다른분들은 각자 회사에서 OT 시간을 어떻게 인정해주나요?
복댓
02.27
조회수
1,037
좋아요
4
댓글
6
3년차 웹 풀스택 => 백엔드 vs 프론트엔드 전향 고민됩니다
3년차 웹 풀스택 개발자로, 백엔드는 C# ASP.Net, 프론트엔드는 Javascript와 Ember.js를 사용합니다. 백:프론트=8:2 정도로 사용하고 프론트보다 백 업무에 대해 어필할 업무들이 더 많습니다. 한 분야로 전문성을 키워 전향하고싶고 현재 제 상황에서 더 유리한 쪽으로 최대한 빠르게 이직하고자 합니다. 조금 더 하고싶은 쪽은 프론트입니다. 백엔드로 전향한다면 C#보다 수요가 더 많은 Java를 개인적으로 공부하여 새로운 언어를 습득해야하며, 프론트엔드로 전향한다면 Javascript는 유지할 수 있되 마찬가지로 수요가 더 많은 React.js를 공부+사이드 프로젝트할 예정입니다. ※ 결론 백엔드로 전향 => 어필할 내용들이 많지만, 언어를 전향해야합니다. 타언어로 전향해도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프론트엔드로 전향 => 어필할 내용들이 적지만, 언어는 유지할 수 있습니다. 어필할 실무 업무가 없는데 경력을 인정받아 이직할 수 있을까요? 어느 쪽이 제 상황에서 유리한 쪽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마작대
02.26
조회수
933
좋아요
10
댓글
6
이런 인턴이면 좋겠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운이 좋게도 원하는 회사에 채용연계형 인턴으로 입사하게 되었습니다 ㅎㅎ 회사 생활이 처음이라 많이 긴장이 되네요ㅜㅜ 단순히 ‘최선을 다해야겠다’는 것 외에도 더 필요한 마음가짐이 있을 것 같아 글을 남깁니다. 여러분은 어떤 인턴과 함께 일하고 싶으신가요?
세실1
동 따봉
02.26
조회수
1,375
좋아요
29
댓글
35
팀장 적응 기간
새로운 회사의 팀장으로 들어가면 보통 적응하는데 얼마나 걸리시나요?? 들어왔더니 할일이 산더미인듯
ㅋlㅋl
금 따봉
02.25
조회수
3,347
좋아요
104
댓글
53
기획자 이직고민
지방대 컴공 졸업과동시에 10인정도되는 설립한지 2년된 중소기업에 취업했습니다. r&d 기획 및 운영 업무를 주로 진행했고 다닌지 3년차에 연봉은 3300에 회사규모는 25인까지 늘었습니다. 그런데 23년 말부터 회사가 조금씩 힘들어지더니 r&d 비중이적어지고 저는 관공서 서비스 기획 업무를 주로 진행하게되고 24년에는 신규인력은 대부분 권고사직되고 전인력 연봉삭감으로 제연봉은 3000만원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약 1년이지나고 입사한지 5년이되니 유지보수 해야하는 프로젝트는 늘어나고 기획자는 부족하고 신규프로젝트에 r&d도 투입되야하는 상황이되니 일은 많고 급여도 너무적다는 생각이들었습니다. 다같이 성장하고 새로운것들을 시도하는게아니라 앞에 닥친일을 주먹구구로 어떻게든 처리하려고 하다보니 제경력이 물경력이되는것 같아서 이직을 결심하고 3월퇴사를 통보하니 연봉 1000만원 인상제안을 받았는데도 고민이됩니다. 이직은 서울 경기로 하려고 생각중이고 기획자로서 더 성장하고 pm으로 경력을 쌓아가고싶은데 어떻게하는게 좋을까요?? 이직을하게되면 기존에받던 연봉을 참고할텐데 당장 진행하고있는 프로젝트들이 힘드니 고민되네요 ㅠㅠ
neanae
동 따봉
02.25
조회수
1,691
좋아요
38
댓글
20
SAP vs JAVA 개발5년차 커리어 조언구해요
안녕하세요. SI업체 다니고 있어요. 자바 개발 4년차에 팀변경으로 SAP 운영으로 와서 일한지 1년 되었습니다. 꾸역 꾸역 어찌 1년은 채웠는데 앞으로 계속 ABAP해야할지 팀변경을 요청해서 자바, 스프링 웹개발로 다시 가야할지 고민입니다. SAP 자체는 희소성도 있고 어렵지만 괜찮아요. 그런데 운영업무 특성인지 사용자 전화응대로 하루가 다 가네요. abap 개발자로 살려면 여기서 3-4년은 더 버텨야할 것 같은데 할 수 있나 싶기도 하고, 동기들은 sap 커리어 타는게 얼마나 어려운데 배부른 소리라고 하니 고민이 많습니다. 이직 시장 보니 특급, 고급 분들도 넘쳐나는데 제가 해봤자 뭐 얼마나 영향력이 생길까 싶기도 하구요. 몇년 더 버티고 고민할까요? 빨리 웹으로 복귀해 일하는게 커리어에 나을까요 ? 연차 높으신 IT 선배님들 조언을 구합니다.
해피해피미
02.24
조회수
1,310
좋아요
9
댓글
7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