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생각을 가진 분들에게 도움이 될 주변 사례 3가지를 전해 드립니다. 사례1. 저와 같은 대학 인서울 상위권을 나와 HR쪽에 있으면서 작은 회사에서 출발했지만 대학원을 해당 전공으로 마친 후 대기업을 거쳐 외국계 다음으로 현재도 대기업 임원 승진을 앞두고 있습니다. 비전공자라면 해당 전공의 석사과정을 거치면서 인맥가 스펙 업된 사례죠. 사례2. 인서울 하위권 피라미드회사 MD로 마켓플레이스 MD로 이직 후 몇년을 거쳐 현재는 대기업 이커머스 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이 친구의 장점은 성실성과 친화력으로 누구에게나 신뢰를 주는 스타일이죠. 첫 직장은 잘못 선택했지만 이후 트랜디한. 업계로 이직하여 커리어를 세탁한 사례죠. 사례3. 계약직 사무보조 수준 업무를 하다 CS 계약직으로 입사하여 이커머스 마케팅과 영업지원을 익혀 현재는 중견기업 계열사의 영업담당으로 근무 중이죠. 이 친구 역시 친화력과 함께 새로운 직무를 주어도 성실하게 배우고 익히는 적극성을 보여줬죠. 즉 커리어 관리는 단순히 좋은 회사만을 옮겨 다니며 서류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기회와 함께 친화력을 바탕으로 성실성으로 본인을 채워나가면 대학 첫직장 이런 모두 허들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고 봅니다. 물론 전문성이 필요하면 때에 맞는 교육도 해야겠죠. 다들 화이팅하시고 당장이 힘들어도 기회가 보이면 한가지만 보세요. 연봉도 잡고 커리어도 잡고 워라밸도 잡겠다는 욕심은 금물
이 스펙으로 무슨 점프업을
22년 10월 16일 | 조회수 12,424
늙
늙어지면못노나니
댓글 6개
공감순
최신순
작성자
22년 10월 16일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된 댓글입니다
늙
늙어지면못노나니
작성자
22년 10월 17일
2번 케이스는 피라미드 회사(대표 임원진 구속) 출신인게 중요하고 3번은 고졸인데 현재 중견기업 자회사 대리입니다.
2번 케이스는 피라미드 회사(대표 임원진 구속) 출신인게 중요하고 3번은 고졸인데 현재 중견기업 자회사 대리입니다.
0
N
NOC
22년 10월 17일
틀린 말씀은 아니지만 본문 내용과는 하등 상관 없지 않나요?
틀린 말씀은 아니지만 본문 내용과는 하등 상관 없지 않나요?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