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대기업에서 재직한지 곧 만 2년이 되는 주니어고,
VC 심사역 진입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작성하고보니 아래글이 너무 길어졌습니다.
요약하면 “대기업 2년차가 VC를 하고 싶어하는데 해주고픈 조언”을 아무거나 다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VC 업무에 매력을 느껴 주니어부터 커리어를 쌓아가고 싶어서 현 시점에서 진입을 하기위한 조언을 구하고자 질문글을 올립니다. 관련 경험이나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관련 경험은 이제 비공개하겠습니다. 다만, 많은 조언을 달아주셔서 글은 남겨둘까해요.]
관련해서 고민해본 진입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바로 진입 (네트워킹을 통해 현재 진행중이고 확장중입니다.)
2) 컨설팅이나 금융권 애널리스트
3) 자격증이나 전문성 확보 (회계사,변리사,MBA 등)
4) 스테이
사실 2), 3)은 배보다 배꼽이 큰 전략이라는 점 아는데(특히 3)) 올린 이유는 근본적으로 지금 제 커리어로 과연 스타트업 대표님들에게 어떤 도움이 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합니다.
저는 정말로 스타트업을 통한 혁신이 일어났으면 좋겠고 재무적 도움 이외에도 제가 전문성을 가진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도움을 드릴 수 있는 관계가 되고 싶은데 ‘주니어 VC’로 업을 시작해 커 나가면 과연 이러한 역량을 키울 수 있는지 고민이 됩니다.
그러다보니 2)나 3)처럼 확장성이 있고 전문성이 있는 커리어를 쌓다가 기회가 되면 들어가는 곳 이라고 생각해야할지가 궁금하네요.
또한 4)를 고민하는 이유는 제가 대기업에서 느끼는 답답함과 반대로 VC에서 얻을 수 있을 것 같은 걸 알아봤는데 현실을 좀 듣고 싶어서 작성했습니다.
- 주도적인 업무(자유로운 업무 가능)와 업을 통한 보람 (스타트업 성장에 직접적인 기여)
- 상방이 열린 보상 (주니어로 캐리가 없는 건 알고, 업에 오라 남아 있을때 성과를 받을 수 있는지)
- 전문성이 쌓이는 직업이 맞는가? (외부의 시선도)
- 추후 커리어가 유지되는 업무인가?
- 업황의 업앤다운이 심하고 외부에서 보는 것만큼 좋은 업종 아니다.
사실 이런 많은 생각들을 제쳐두고 지금은
‘한번쯤 꼭 해보고 싶다.’ 만으로 어떻게든 도전중입니다. vc를 주니어로 시작한다면 제가 갖춰야 할 부족한 점은,
- 기술력 체크를 위한 전문가 집단 네트워크는 어떻게 형성 하는거지?
- 스타트업 대표에게 투자처로 선택받기 위해 내가 갖추고 어필해야할(나만의 브랜딩은) 점은 뭐가 있을까?
등등이 있는데 어떻게 갖출지도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쩌다보니 새벽에 감성글같은 긴 글이 되었습니다.
모든 조언 감사히 받겠습니다.
PE/VC
VC 신입 진입 조언
22년 10월 02일 | 조회수 6,443
추
추리이
댓글 26개
공감순
최신순
2
2호선체리피커
22년 10월 03일
근태ㅋㅋ 배 아픈 댓글들이 많은듯 하네요. 어딜가나 일반화는 지양해야죠. 글쓴이는 고민 많이 하고 맘을 잡은 듯 한데 잘 알지도 못하면서 다 아는 듯 싸잡아 매도하는 댓글들 가관이네요. 열심히 하는 사람들도 많고 점차 발전할 겁니다.
참고로 전 1번 추천하며, 어떤 스테이지, 분야의 vc 커리어를 원하는지 고민을 더 하길 바랍니다. 세분화 해서 보면 각각 전문성 쌓이고 요구하는 직업 맞으므로, 빨리가서 공부하고 경력 쌓으면 됩니다. 2, 3은 돌아가는 게 맞고, 후기 투자가 아닌 이상 요구 전문성이 다릅니다.
...더보기
답글 쓰기
17
2
2호선체리피커
22년 10월 03일
덧붙이자면, series A 즈음의초기 투자를 원하는 경우 전문성은, 당장 가서 기업 최대한 많이 만나고, 대표님들과 성장 전략 고민하고 인력구성 같이 해주고, 케이스 빌딩도 온갖 인맥 동원해가며 쌓아주고, 펀딩 전략 짜주고 후속투자 유치해주고, 그냥 같이 구르며 밸류업 시켜주는 경험 쌓다보면 전문성 쌓입니다. 그러면 자기 브랜드 그냥 쌓여요. 여기 뇌피셜 댓글들처럼 상상하는 바와 같이, 요즘 돈놓고 돈먹기 투자하는 vc들은 누구머니같은데서 욕먹고 자연 도태됩니다.
덧붙이자면, series A 즈음의초기 투자를 원하는 경우 전문성은, 당장 가서 기업 최대한 많이 만나고, 대표님들과 성장 전략 고민하고 인력구성 같이 해주고, 케이스 빌딩도 온갖 인맥 동원해가며 쌓아주고, 펀딩 전략 짜주고 후속투자 유치해주고, 그냥 같이 구르며 밸류업 시켜주는 경험 쌓다보면 전문성 쌓입니다. 그러면 자기 브랜드 그냥 쌓여요. 여기 뇌피셜 댓글들처럼 상상하는 바와 같이, 요즘 돈놓고 돈먹기 투자하는 vc들은 누구머니같은데서 욕먹고 자연 도태됩니다.
14
추
추리이
22년 10월 03일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주니어로 들어가도 커리어가 쌓인다는 답변에 마음도 놓이네요.
현직이신거 같은데 많은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ㅠ 내부에서 보실때 요즘 경제 위축에 따른 업계 위축에 대해 어떻게 보시나요? 초기 투자로 눈돌려 회수가 도래할때쯤 경기 회복이 되길 기대하는 것 같더라고요.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주니어로 들어가도 커리어가 쌓인다는 답변에 마음도 놓이네요.
현직이신거 같은데 많은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ㅠ 내부에서 보실때 요즘 경제 위축에 따른 업계 위축에 대해 어떻게 보시나요? 초기 투자로 눈돌려 회수가 도래할때쯤 경기 회복이 되길 기대하는 것 같더라고요.
1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
이직하는게 좋은건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2,243
46
53
납기 빵구났어요..출근하기 싫네요
4,237
34
65
경력직 이직에서 연차 의미
3,441
99
69
면접에서 연봉
3,817
126
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