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를 많이 사용하시던데 개인적으로 뷰의 양방향 바인딩이나 템플릿 형식이 편하더라구요 그리고 뷰, 리액트, 앵귤러 컴포넌트 기반의 프레임워크들 공통으로 개발자가 돔이랑 css 작업해야 하는 것도 불편한 것 같습니다 디자인/퍼블리셔가 html/디자인적 코드를 온전히 소유, 관리하면서 프론트 개발자랑 분리해서 개발할 수는 없는 걸까요?
vue vs react 어느걸 추천하시나요
21년 06월 25일 | 조회수 3,794
2
2zftzz
댓글 16개
공감순
최신순
p
propro
21년 06월 26일
vue: 러닝커브가 낮고 구조화된 html/css/js의 구조를 갖춰서 활용성이 높아요 다만,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관리를 위한 구조가 필요하고 mixins나 filter등 implicit한 사용이 권장되는 듯한 모습이 있어서 커질수록 단점일 수도 있어요. 다만 vue 2.0의 option Api가 그렇고 올해 본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vue 3.0 composition api는 react hook을 상당히 많이 가져온 모습입니다. vue에서도 결국 단방향 바인딩이 로직을 분리하고 코드를 유지보수하는 데 역시나 편한 감이 있습니다..
react는 functional api hook의 도입으로 러닝커브가 vue보다는 높은 편이지만 최적화나 설계가 자유로워(이점 역시 러닝커브를 높이는 요소가 되지만) 큰 규모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아요. 개발자가 여러명이면 나눠서 작업하는 것도 용이하기도 하고.. 정보 획득도 용이하고..
다만 간단한 튜토리얼을 마무리 하신다면 next나 nuxt를 이용하는 것이 조금 더 편하게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늠 방법 같긴 합니다.. 좀 더 숙련이 된다면 순정을 튜닝하는 기본 react에 빌드 최적화나 퍼포먼스 향상을 시도하는 것이 나을 수 있지만 사실 간단한 프로젝트나 기본적인 세팅이 완료된 next/nuxt를 이용하는 편입니다 ...
react기반 next를 협업이 일상이거나 대규모 개발팀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고 토스도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죠.. 다만 vue/nuxt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아직 자주 보이지는 않는 것 같아요.. 롯데온 쇼핑몰에서 본 적이 있고.. 아니면 vue라이브러리 자체가 경량이라 페이지/기능 단위로 도입해서 이용하는 경우가 있고요..
퍼블리셔와 분리해서 작업하는 형태에서는 vue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보여요. 적당한 css rule이나 페이지 마크업을 요청하여 css style 하단에 기존 페이지별 css처럼 작성하고, 프론트엔드개발자는 데이터바인딩에만 신경쓰고요..
하지만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도 css js는 기본이고 하다보면 익히기도 어렵지 않아서 현대 프론트엔드프레임워크에서는 굳이 퍼블리셔가 있어야할까? 생각도 듭니다
...더보기
답글 쓰기
7
비공개
21년 09월 12일
퍼블리셔란 개념은 원래 없습니다 프론트엔드개발자가 해야 되는 영역이죠
퍼블리셔란 개념은 원래 없습니다 프론트엔드개발자가 해야 되는 영역이죠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