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의 제주는 어떤가요?
깨끗하고 푸른 제주를 위해
환경 정화활동 플랫폼 공공프로젝트
'제주를 그리다'
잠시 시간 내서 공감 한번 해주시겠어요?
500명의 공감을 받으면 실현될수 있어요!
https://jejudsi.kr/issue/1OVO
게임 요소가 접목된 환경정화활동 디지털 플랫폼 개발 및 운영
▣ 제안의 시작
-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제주도가 심각하게 증가하는 쓰레기 등으로 인한 다양한 환경 문제로 자연이 훼손되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 이처럼, 곳곳에 버려져 쌓여있는 쓰레기는 수도 없이 많지만 행정차원의 수거처리에는 한계가 있음.
- 안타까운 마음에 개인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려고 해도 개인이 감당할 수 없는 양 등 으로 인해 수거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비일비재함.
-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단체나 기업 등에서 환경 정화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해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일회성 캠페인 활동으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임.
- 눈에 보이는 쓰레기를 치우고 싶은데, 혼자 치우기에는 양이 많고, 누가 같이 해주었으면 하는 생각에 제안을 하게 되었음
▣ 문제의 중요성
○ 제주도의 최대 현안 “환경문제”
○ 모두가 알고 있는 심각한 문제
-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제주의 2017년 1인당 하루 생활폐기물 배출량은 2㎏으로 전국 1위를 차지하는 불명예를 안았으며, 처리 가능한 수용력을 초과하여 제주도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수준에 도달했음
- 2019년 4월 만 19세 이상 제주도민 1,50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제주도의 최대 현안은 쓰레기 등의 환경 문제(37.7%)로 가장 걱정되는 문제로 조사 되었음
- 위의 자료들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제주도의 환경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환경 관련 자원봉사 활동의 한계
- 자원봉사자들이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수요처’에서 정한 장소, 시간에만 활동을 하고 있어 자율적이지 못한 현실
- 사회와 공공의 이익을 위한 일을 자기 의지로 행하는 것이 자원봉사이나, 현행 교육과정에는 학생들의 봉사활동 시간을 규정하는 봉사활동 의무제가 시행되고 있고, 이에 부작용으로 봉사활동은 하기 귀찮고 재미있지 않은 어려운 일이라는 인식이 팽배한 것이 현실임
- 기업 및 단체 등에서 환경정화 활동을 펼치고는 있으나, 관련 활동 자체가 단발성 이벤트 형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활동을 이어나가기 어려움
- 실제로 환경 관련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였을 경우 환경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고, 참여하였음에 보람과 뿌듯함을 느끼지만, 활동에 참여하기까지의 문턱이 높은 것이 현실임
○ 어렵고 복잡한 자원봉사활동 참여 과정
- 아무렇게나 버려져 쌓여 있는 쓰레기들을 보고 치우고 싶었지만 혼자서는 치우고 처리할 엄두가 나지 않아 포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다른 사람과의 협력을 통해 환경정화 활동을 진행한다면 참여율과 효율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이에, 다른 사람들과 함께 환경정화 활동을 하고 싶어도, 유관 기관 및 단체 등을 찾아 가입하고 실제 활동 매칭까지 이루어지는데 과정과 절차가 복잡한 애로사항이 있고, 이는 자원봉사 활동 참여 의지를 저해하는 요소임
- 유관 기관 및 단체를 통하는 어렵고 복잡한 과정과 절차를 생략하고 공익적인 목적을 가진 개인들이 스스로 혹은, 단체를 구성해 직접 환경정화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더 많은 사람이 보다 쉽게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제주도의 자원봉사 활동 실태
- 인구 : 670,989명
- 등록인원: 179,763명 (27%)
- 활동인원: 12,977명 (7%)
<출처: 행정안전부 1365 자원봉사 포털 2019.12.31 기준 통계>
- 자원봉사활동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지만 실제 활동내용은 그 수준에 못 미치고 있는 현실임
- 디지털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에도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여 지속가능한 자원봉사 활동을 이끌어 낸다면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됨
▣ 토론 중점내용
- 제주도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제주도민들의 현실적 참여 방안 모색
- 환경 정화 활동에 대한 부담감 및 어렵다는 인식 전환 방안 모색
- 환경 정화 활동이 일회성, 단발성 행사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 모색
-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지역 내 유관 기관 및 단체들과 연대 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미래 세대의 주역이자 주인인 청년층, 학생층이 관심 갖고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방안 모색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접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 문제정의 최종요약
- (WHERE) 지속가능한 환경보전과 보호가 필요한 제주도에서
- (WHY)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환경오염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 (WHAT) 제주도를 깨끗하게 가꾸고 유지하는 환경 정화 활동이
- (WHEN) 일회성, 단발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수시로
- (WHO) 도민 및 관광객이 누구나 쉽게 스스로, 혹은 단체로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 (HOW)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활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 필요
제목: 게임 요소가 접목된 환경정화활동 디지털 플랫폼 개발 및 운영1. 환경정화활동 디지털 플랫폼 “(가칭)제주를 그리다”
(이미지 출처: freepik.com, pngtree.com)
2. 제안배경
○ (제주환경 문제의 심각성)
- 천혜의 자연 환경을 자랑하는 제주도가 심각하게 증가하는 쓰레기 등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 문제로 자연이 훼손되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주요 여행지 및 해안에는 사람들이 버린 쓰레기 들로 넘쳐 나죠
-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제주의 2017년 1인당 하루 생활폐기물 배출량은 2㎏으로 전국 1위를 차지하였으며, 처리 가능한 수용력을 초과하여 제주도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사단법인 제주바당)
(그래프 출처: 한국일보
https://jejudsi.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