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미생물의 불균형과 코로나19 연관성
https://lnkd.in/gcT7QZ6
#코로나19중증환자 발병기전 및 치료
1. 발병기전
1) 코로나19 비말이 비강과 목점막 이동
2) 'ACE2'수용체 세포와 코로나19 연결
3) 바이러스가 장의 표피와 내부 장기 접근
4) 장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증식
5) 림프선을 따라 바이러스가 폐로 이동
6) 코로나19 감염이 중증으로 진행
2. 악화요인
1)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령
2) 장내 미생물이 건강하지 않은 사람
3. ACE2수용체
1) 폐에서 폐렴을 유발하고 장에도 존재
2) 장 표피와 내부 장기 표면에 ACE-2
수용체단백질이 많이분포
3) 바이러스와 접촉하면 쉽게 감염
4) 마이크로바이옴이 post-covid의 핵심
4. ACE2 수용체와 코로나19 결합
1) 장내 유익균이 많은 경우
: 장내 유익균이 발생시키는 대사 물질
: 혈액이나 임파선을 타고 폐로 이동
: 바이러스와 맞서 싸워 감염률 낮춤
2) 유익균이 별로 없고, 유해균이 많은 경우
: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장벽의 항상성 영향
: 코로나 바이러스가 장벽을 쉽게 통과
: 바이러스가 인체 방어체계를 넘어설
: 혈액을 통해 온몸으로 퍼짐
: 코로나19에 감염될 확률이 높아짐
5. 코로나19 감염 결과
1)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불균형
: 장내유익균 감소
2) 면역계 자극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 지속적인 염증 증상
3) 코로나19로 사망한 사람의 폐속
: 아키네토박터, 크리세오박테리움,
부르콜데리아 등의 유해균 검출
: 면역체계를 유지해주는 유익균의 비율은
현저히 낮게 검출
6. 결론
1) 장내마이크로바이옴이 코로나19 막음
: 폐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막을수 있음
3) 폐속의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
: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를 저지
: 바이러스의 공격에 절대적인 방어
: 코로나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역할
7. Discussion
인간-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LinkedIn
This link will take you to a page that’s not on LinkedIn
https://lnk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