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 산정하다보면 개발자등급을 마주하게 됩니다. 볼때마다 사람을 어떤 기준으로 나누는게 마음에 안들다가도 이것마저 없으면 답이 없겠다라는 생각도 듭니다. 보통 개발자등급은 연차로 구분하게 되는데요 이게 엄밀하게 이야기해서는 실력과는 또 다른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필요한 스킬을 얼마나 최근까지, 그리고 얼마나 오랫동안, 다양하게 다뤄봤는가?" 가 기술적인 척도(?)가 될 수 있겠지만, 그 외에도 바라보는 관점은 다양할 것 같습니다. 민감한 이야기일 수도 있어서 덧붙이자면... 프리랜서 개발자분들에게 +@를 요구하는 컨셉은 아닙니다. 해야하는것을 명확하게 마무리 지으면, 더 바랄게 없죠 사실.. 그렇지만 팀원으로서, 프로젝트의 일원으로서 필요한 것들이 또 있지 않을까 싶네요 등급별로 한정짓는건 아닙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초급 : 주어진걸 잘 따라옴 중급 : 현재의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음 고급 : 프로젝트 완료 후에 대해서 이야기 나눌 수 있음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초/중/고급 개발자의 기준?
20년 10월 13일 | 조회수 1,134
f
fiesta
댓글 4개
공감순
최신순
a
aindark
20년 10월 15일
프로젝트를 하면서 느끼지만 객관성을 가지기 위한 척도가 애매합니다.
중급은 최소한 정해진 룰이나 정해진 메뉴얼에 맞춰 개발하거나 의도대로 진행이 제대로 유지가 되는 개발자를 중급으로 보고 싶더군요
고급은 일반적이지 않고 평균 2~3MM 으로 끝낼수 있는걸 1MM 으로 끝내거나 혹은
전체 기획후 기획의 흐름 조절을 원활힐 할줄 알때 고급으로 보는게 맞는거 같더라고요
즉, Skil + 경험의 누적이 중급 고급으로 나눈다고 보고 싶은데
보통 이부분에 대한 명확한 평가가 어렵기때문에 인맥이나 알음 알음 가죠
정말 다른분 말씀처럼 PM의 인맥 수준 정도에 따라 실무에서보는 일의 처리 체감은 하늘과 땅차이 입니다.
파터너사와 개발자가 머리를 쥐어짜도 안나오는 해답을 제대로된 고급 개발자가 투입되면 순식간에 해결되죠
명패만 고급이고 짬으로 고급이 된 인력은 경험의 부족등으로 정확한 소방수 역활하는데 한계가 있더라고요
초급 , 중급 , 고급을 어필하려면 자신의스킬과더불어 경험과 일의 해결 사례까지 어필 가능해야 고급이라고 할수있을거 같더라고요
참고로 저희도 포트폴리오만 보고선 고급일까 의심하는 경우가 많겠더라고요
...더보기
답글 쓰기
1
지금 바로 리멤버 회원이 되어
모든 댓글을 확인하세요
모든 댓글을 확인하세요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