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석 믿고서 밀어붙이기식 임대차 3법 이후로 기존 임대인이 실거주를 하게되면서 전세가 씨가 마르기 시작해서 전셋가가 폭등하는 것 같군요-.- 20~30대 젊은 세대의 주거환경을 망가뜨린 것 같은데 어떻게해야 되돌릴 수 있을지 심히 걱정이 됩니다. 미래세대들이 부모가 집을 증여하지않으면 서울에서 살 수가 없다는 현실 끔찍할 따름 입니다 -.- "부의 인문학"을 읽고있는데 아뿔싸 라는 생각이 -.-
전세 폭등 -.-
20년 10월 10일 | 조회수 4,644
b
biofuzzy
댓글 58개
공감순
최신순
코
코코팜
20년 10월 11일
전 전세대출이 사라지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느끼는 쪽입니다.(집주인아님)
1. 자산증식의 기회박탈
- 부모님때부터도 그랬고 지금 사는집도 전세지만, 전세만큼 미래세대들이 자산을 증식하기 좋은건 없다고 봅니다. 임금률/부동산법/세법/통화가치/재테크환경 등을 고려해도 해외에 비해 증식 창출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집값이 현실화되어도 같은 문제라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서민이 중산층이 될 수 있는 기회를 걷어차는건 안타깝다고 생각합니다.
2. 시장 심리
- 돈은 수치를 따라 움직이는게 아니라 수요자의 심리에 따라 흔들리는 변수가 큽니다. 전세가 사라지는게 집값 현실화가 된다면, 가장 가까운 홍콩이나 다른 나라들은 전세계 집값 순위에 왜 상위랭크가 되어있을까요? 심지어 외국인도 한국에 오면 놀라지만 그만큼 전세대출의 장점을 인정합니다. 이는 국민들에게 좋은 제도라는 거죠. 독일같은 국가들은 싸지않은 월세임에도 집들어갈때 면접/직장확인까지 합니다. 이게 옳은걸까요? 동일한 예로 주식시장을 들 수 있겠네요.
'테마'하나에 얽매여 실적/호재따위와 관계없에 요동치며 2030세대의 역대 빚투까지 끌어낸 현상.
* 결론
자원하나없는 나라에서 전세가 사라진다고 월세는 현실화되지 않으며, 소수 대기업이 하청으로 먹여살리는 경제계 구조속에서 환율의 가치도 안정적이지 않고 별다른 재테크 수단이 없는 국내에서 전세가 사라질 경우 서민의 자산증식은 오히려 더 오래걸리고, 빈부격차는 날이 갈수록 심화되며, 있는자들(현금부자)들의 뱃속만 채우는 형태로밖에 남지 않을겁니다.
OECD니 연구결과니 각 국가의 상황적/문화적/심리적 요소를 전부 배제하고 수치상으로 나온 것이기에 비교 대상이 될 수 있을지언정 그 국가들 환경을 그대로 적용한다고 되는게 있을까요?
그렇게 외치던 복지국가의 표본인 북유럽 일부국가는 지금 오히려 복지를 줄이고 있고, 배워야한다던 서구식 교육은 이미 동양식 교육의 장점만 따라배우는 추세로 바뀌는 중입니다.
이미 앞선 국가에서 어떻게보자면 사회적 실험의 결과로써 보여지는 것을 우리는 왜 그렇게 뒤따르려고만 하는것인지...
일본의 잃어버린 시대를 보고 하면 안될점만 뽑아서 개선해도 모자란데, 그들의 발자취가 길인것 마냥 그대로 따라가는 현상(저출산/부동산거품/..etc)을 보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네요
(수정됨)
...더보기답글 쓰기
31
보
보라네
20년 10월 11일
우리는 전세자금대출로 지원합니다
근데
그 자금이 전세금과 집값을 더 상승을 부추기죠
오래전 전세기간 1년에서 2년될때 전세금이 2.3배정도 올랐지요
이번에 계약갱신청구권으로 4년 거주가능하면서
폭등하고 있지요
25번 부동산대책(언론, 장관은 4?번 정도 라함)을 하면서 과연 실수로 집값을 2~3배로 올렸을까요
궁금하지 않으세요?
과연 실수 일까요?
2030세대의 눈에는
상승을 인정하지않는 대통령과 국토부장관의 모습이 어떻게 보이시는지요?
2030세대에게 특히 인기가 상승되고 있다는 여론조사를 보고서 이해가 .......
(수정됨)
...더보기8
코
코코팜
20년 10월 11일
@보라네
올린 이유는 다분히 의도적이겠죠. 현 정부에서 원하는 것이 전세의 소멸 및 월세만으로의 전환을 바라는 것이니까요.
현 정부가 제일 잘하는게 바로 시기적절한 타이밍에 언론플레이를 통한 날치기 법안 통과 및 다수결로 포장된 표퓰리즘성 법안 강행들뿐이니까요.
저도 2030세대이지만, 현 정부를 지지하지 않았었고 현재도 지지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제가 남긴 댓글은 그러한 문제점들에 대해 안타까움을 적은 것입니다.
겉으로는 집값 안정화 및 서민들을 위한 주거정책을 표방하면서 식상으로는 다주택자가 대거 포진한 여당(야당이야 이미 유명하니), 서민들의 중산층으로의 진입 장벽 차단.
모든 국가들이 안정적으로 복지와 삶의 질 등 다양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중산층(우리나라 기준에선 어떻게될진 모르지만)'이 탄탄하게 밀집되어야 하는데, 정작 현 정부는 모래시계형태처럼 실질적 중산층 압박(3억대주주,양도소득세..etc)하고, 중산층으로 올라가야할 서민들은 계속 서민으로 머무르라는 식으로 정책들을 쏟아내는게 안타까울 뿐입니다.
...더보기
17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