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관련 상담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두 계좌 모두 대표적인 절세 연금 계좌이고, 세액공제율도 13.2%, 또는 16.5%로 동일합니다. 한도의 경우 (함께 활용 시) 연간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어떤 계좌를 먼저 채우는 게 더 유리할까요?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연금저축 → IRP 순서로 채우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 - 연금저축 : 최대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 - IRP : 그 이후 300만 원까지 추가 공제 가능 두 계좌를 합치면 세액공제를 총 9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고, 공제율에 따라 최대 148만 5천 원까지 세금 환급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IRP가 한도도 더 크고, 퇴직금도 함께 관리할 수 있는데 왜 연금저축부터 시작하라고 할까요? 바로 IRP 계좌의 ‘제한사항’ 때문입니다. ────── 먼저 연금저축과 IRP의 차이점부터 간단히 비교해보겠습니다. 1. 세액공제 혜택 → 동일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초과 시 13.2%) 2. 중도 인출 가능 여부 → 연금저축 : 필요 시 해지하고 인출 가능 (세금은 납부) → IRP : 퇴직, 주택구입 등 제한된 사유 외에는 인출 불가 3. 운용 자율성 → 연금저축 : 금융사 구분 없이 ETF, 펀드 등 자유 선택 → IRP : 금융사별로 운용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음 (특히 퇴직연금이 포함된 경우) 4. 퇴직금과의 통합 여부 → IRP는 퇴직연금과 통합되어 퇴직금이 자동 이체되는 구조 ────── 💡 그래서 어떻게 활용하라는 건가요? 만약 연금저축과 IRP에 투자하실 예정이라면, 다음 순서를 고려해보세요. 1. 먼저 연금저축을 600만 원 한도까지 채운다. → 유연성이 확보되면서, 동일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그다음 IRP에 300만 원을 추가 납입해 세액공제 최대치인 900만 원을 채운다 → 퇴직금 수령 예정자라면 IRP 납입 내역도 함께 관리 가능합니다. 3. 추가 여유자금이 있다면 ISA로 분산투자하거나, 연금저축 불입액을 꾸준히 유지 ────── 📬 마무리하며… 결론적으로 두 계좌 모두 세제 혜택이 뛰어나지만, 유연성과 자금 접근성 측면에서는 연금저축이 더 실용적입니다. IRP는 퇴직금 수령과 맞물려 관리하는 것이 유리하고, 그 외의 추가 납입은 ‘장기 고정 자금’으로 여기는 게 더 편합니다. 절세 효과를 극대화하고, 중간에 자금이 필요할 가능성까지 고려한다면 연금저축부터 시작하는 것이 더 유리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혹시 여러분은 지금 연금계좌를 활용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이제 막 시작을 고민 중이신가요? 여러분의 계획이나 궁금한 점, 추가로 나눠주실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함께 나눠주세요. 다른 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본 콘텐츠는 리멤버x든든의 파트너십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
연금저축, IRP 무엇부터 넣어야 하나?
04월 29일 | 조회수 4,184


든든 dndn
로보어드바이저 AI 자산관리
댓글 141개
공감순
최신순
아

아미드
04월 29일
정보 감사드립니다!
정보 감사드립니다!
답글 쓰기
18
양
양산눈
05월 01일
감사합ㄴ디ㅏ!!
감사합ㄴ디ㅏ!!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