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일의 산정은 회계년도(일반적으로 1.1일) 입사일 기준으로 산정할 수 있는데 입사일 기준이 근로자에게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회사다닐 때는 말하기 어려우니, 퇴사할때 두 가지 방식으로 계산해보고 부여된 연차에서 사용 연차일 빼고 잔여 연차에 대해 연차수당 청구 하세요. 예를 들어 볼게요. 20년 7월 1일 입사 - 25년 4월 30일 퇴사. 1. 회계년도 기준 : 81개 1) 2020년 7월 1년 미만 연차: 11개(한달 만근 1개) 2) 2021년 1월: 8개(12개월 중 6개월 근무) 3) 2022년 1월: 15개(1년 중 80% 이상 출근) 4) 2023년 1월: 15개(1년 중 80% 이상 출근) 5) 2024년 1월: 16개(1년 중 80% 이상 출근, 3년 이상 +1) 6) 2025년 1월: 16개(1년 중 80% 이상 출근, 3년 이상 +1) 6) 2025년 4월: 0개(80% 미만 출근) 2. 입사일 기준: 90개 1) 2021년 6월 1년 미만 연차: 11개 2) 2021년 7월: 15개 3) 2022년 7월: 15개 4) 2023년 7월: 16개 5) 2024년 7월: 16개 6) 2025년 4월: 17개 기본급 3,000,000원 이라면 연차수당은 3,000,000/209(월 소정근로시간) * 8 * 9개(연차)= 연차수당 1,033,500원. 오마카세 한끼! 모두 부자 되세요.
회사가 우리에게 알려주지 않은 것 #2.
03월 19일 | 조회수 2,514
L
LA부자
댓글 28개
공감순
최신순
인

인술레이터
03월 20일
뭔 회사를 다녔길래 이런걸 팁이라고 올리지 퇴직할때 입사일 기준 정산 안하는데도 있나
뭔 회사를 다녔길래 이런걸 팁이라고 올리지 퇴직할때 입사일 기준 정산 안하는데도 있나
답글 쓰기
14
2

2년차사원
03월 24일
회사가 알아서 입사일 기준으로 계산하고 직원이 챙겨야되는 건 아닌거죠?
회사가 알아서 입사일 기준으로 계산하고 직원이 챙겨야되는 건 아닌거죠?
1
명
명동꽃미남
03월 26일
22
22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