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계과 석사 과정을 마치고 이번에 첫 직장을 가지게 된 사람입니다. 어쩌다보니 2가지 기회가 왔는데 너무 달라서 고민 중이라 여러 의견을 들어보고자 글을 남깁니다. A회사 대기업 협력사 정직원 업무 형태: 설계직(정확히는 대기업 도면 그리는 하청 느낌?) 장점: 대기업 협력사라서 대기업에서 제공하는 일부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다니면서 다른 곳에 원서 쓸 수 있음 -예시: 식사 3끼 제공, 월세 일부분 지원 단점: 본가와 멀어서 무조건 집 구해야 함. 석사 안 쳐줌, 코딩 조금만하면 자동화 할 수 있을것 같은 단순한 업무, 내가 성장할만한게 없어보임 B회사 연구소 계약직 업무 형태: 연구직 장점: 새로운 분야로 내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 같음. 집에서 차타고 30분이면 감(B회사 근무 시 부모님 차 사용 가능), 유연 근무제, 계약직이지만 파트 타임으로 박사 진학 가능(회사 지원x) 단점: 아는 지인이 추천해준거라서 1년 동안 다른 곳에 지원하지 마라고 함(도의적으로 힘듦), 1년 계약직(최대 2년). 두 회사 연봉은 비슷합니다. 돈만 따지만 혜택은 a가 더 많지만 월세가 나가고, b는 식비가 나갑니다. 각 회사의 최대 단점은 a는 회사나 저나 성장을 못할 것 같은 느낌입니다. 대기업에서 하청 맡기는거에 의존율이 너무 높고, 새로운 방향성으로 나아가고자함이 없는 것 같습니다. b는 계약직이라서 너무 불안합니다. 계약이 끝나고 다시 취업을 할 수 있을지 두렵습니다. 그리고 b는 저에게 로봇 플랫폼? 소프트웨어 쪽을 맡기고 싶다 했는데 이 쪽이 취업이 잘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석사 연구주제가 너무 마이너했어서 사기업 연구직에 잘 안된 것 같아서, 좀 대중적인 연구를 한다면 제 단점이 보완될 수 있을까봐요. 석사까지 하니 나이가 차서 이제 점점 무서워집니다. 어떤 선택이 앞으로 좋을까요?
대기업 협력사 정직원 vs. 연구 계약직
03월 08일 | 조회수 332
고
고민할땐치킨
댓글 1개
공감순
최신순
자
자연에살어리랏다
억대연봉
03월 08일
10년 뒤, 20년 뒤, 30년 뒤의 모습(안정 되고 편안한 삶, 전문분야에서의 승승장구 등등)을 충분히 고려해보시고 선택하시길…
다만 아직 충분히 젊고 기회가 많으시기에, 향후 보다 가능성이 열려 있는 B회사를 추천 드립니다.
10년 뒤, 20년 뒤, 30년 뒤의 모습(안정 되고 편안한 삶, 전문분야에서의 승승장구 등등)을 충분히 고려해보시고 선택하시길…
다만 아직 충분히 젊고 기회가 많으시기에, 향후 보다 가능성이 열려 있는 B회사를 추천 드립니다.
답글 쓰기
1
고
고민할땐치킨
03월 09일
조언 감사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