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고졸이고, 현재 SE로 근무한지 갓 2년정도 되어갑니다.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위주로 일을 하고 있고 있습니다. 대학교는 진학 욕심이 있었으나 개인 사정으로 결국 다른 분야로 취업부터 하게 되었었네요. 2년이 되어 가는 시점에 갑자기 대학교를 가고 싶다는 고민이 생겼고 평소 학력으로 인해 고민도 많고 확실히 제약을 느끼긴 했습니다. (물론 급여 부분입니다.) 그러다가 지금 2년이라는 중고 신입 연차에 특히나 IT 분야에서 경력 단절과 함께 학교를 뒤늦게 가는게 맞나라는 현실적인 부분이 생겼습니다. (방통대, 야간대 등등 알아봤지만 졸업까지 근무를 병행하며 하기엔 무리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구축 파트라 야근을 예정된 일정없이 빈번하게 하네요.) 학은제를 알아봤지만 회사에서나 여러모로 인식이 안 좋더라고요. 실력만 키우자라는 생각으로 2년간 달려왔는데 어떻게 해야될지 막막합니다. 맘 같애선 대학교를 진학하고 싶지만 돈도 그렇고 경력도 그렇고 걸리는 부분이 이만저만이 아니네요,, 대학교를 못 가면 사실 그냥 학력이 이렇더라도 경력과 실력으로 밀고 나가고 싶은데 제가 생각해도 너무 뜬구름 잡는 소리로 들릴 것 같네요. 두서없는 글이었는데 많은 선배분들의 경험과 조언을 듣고 싶어 글 남깁니다.
IT 직군
진심 어린 조언 부탁드립니다.
01월 20일 | 조회수 894
C
Clean
댓글 8개
공감순
최신순
정
정년임박엔지니어
01월 22일
실력이 정말 좋으면 학벌은 그저 장식일뿐. 본인의 실력이 좋다면 많은 시간을 투자하면서 무리할 필요없구요. 실력이 애매하다면 장식이 필요할겁니다. 한국이 아직 학벌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발전이 멈춰있지만 머지않아 실력이 우선시되는 사회가 될거라는 가정에서입니다. 서울대를 포함 국내외 여러 명문대를 나온 박사들과 일해봤지만 결국 프로젝트에서 가장 핵심역할을 한건 지잡대를 졸업한 엔지니어였고
그래서 인사고과에서 항상 그 친구에게 최고점수를 줬습니다.
(수정됨)
...더보기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
다들 저축 얼마나 하시나요?
1,432
34
33
손톱깎는 소리
1,963
73
69
hrd 쪽은 박사 학위가 필요없나요?
1,634
59
53
요즘 이직 참 어렵군요..
5,184
162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