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문뜩 드는 생각인데 인수금융도 어찌보면 트렌치를 나눠서 대주단 구성을 하잖아요. 그러면 인수금융 구조화를 하면 사전 Due Dilligence와 사후 Due Dilligence를 보통 어떻게 하시나요. 또 한 회사의 인수금융 딜 뿐만 아니라 여러개 회사 여러 건의 인수금융을 Securitization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후실사를 PM이 총괄하도록 컨트롤 타워를 두시나요? (아니면 발행부서와 관리부서가 PM RM을 나눠서 하시나요?) 감사합니다.
금융/투자
인수금융(M&A한)의 구조화채권
20년 08월 17일 | 조회수 1,752
k
klasknox
댓글 4개
공감순
최신순
ㅈ
ㅈㄷㅇ
억대연봉
20년 08월 20일
많이 배워갑니다
많이 배워갑니다
답글 쓰기
0
지금 바로 리멤버 회원이 되어
모든 댓글을 확인하세요
모든 댓글을 확인하세요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