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서비스(구독 서비스입니다) 런칭을 앞두고 가격 책정에 대한 고민이 많습니다. 떠오르는 탁월한 사례들이 있는데요, 이미 자리잡은 넷플릭스/유튜브의 '한 달 무료 후 구독 정책'이나 카카오페이지의 '기다리면 무료 정책'... 딜리버리히어로의 '월 9900원에 주문시마다 3000원 할인' 정책도 참 인상깊었고요. 성공적인 가격정책을 공통점은 <일정기간 고객에게 무료 혹은 적은 금액으로 체험할 기간을 준다>는 것 같아요. 고객 스스로에게 판단할 시간을 주는 만큼 <고객 경험>에 대한 자신이 있어야겠죠. 관련 아티클에서도 가격 인상 정책이 아니라 가격 향상 정책(고객이 만족하여 기꺼이 지갑을 열게 하는)을 택하라고 하더군요. 이게 가장 본질이겠지요. 그런데 제가 궁금한 것은 어느 정도 UX에 대한 자신이 있을 때, 구체적인 금액과 정책을 정해나가는 과정입니다. 가격이란 한번 확정하면 바꾸기가 정말 어렵고, 실패할 시 그 후폭풍도 엄청나게 크니까요. 예전처럼 비용 산정해서 경쟁제품 가격대 리서치한 후 가용범위를 정하는 방식은 더이상 쓸 수 없을 것 같고요(신서비스라 경쟁사라 할만한 데도 없네요) 어떻게 하면 적확하게, 또 안전하게 가격을 책정할 수 있을까요? 관련 경험이나 인사이트 있으신 분들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제품(서비스)의 가격을 탁월하게 책정하는 방법
20년 07월 27일 | 조회수 412
살
살구빛
댓글 3개
공감순
최신순
마
마른 영린이
억대연봉
20년 08월 01일
서비스를 세분화해서 옵션 가격을 만들어보세요~
고객은 가장 합리적인 서비스 (가치)에 많이 지불할 것 입니다.
서비스를 세분화해서 옵션 가격을 만들어보세요~
고객은 가장 합리적인 서비스 (가치)에 많이 지불할 것 입니다.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