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회사에서는 파트장 직책이며, 들어온지는 9개월 가량 되갑니다. 제 위로는 올해부터 부서장을 맡은 사람이 있고, 본격적으로는 4월 정도에 일을 시작했습니다(이 사람은 계열사 높은 사람의 친조카임, 몇 년전에 타 부서에서 이쪽으로 좌천된 이력이 있음) 업무적인 능력은 거의 없으며, 하고 다니는 언행이 아주 경솔하고 주변에 대한 배려가 하나도 없는 사람입니다. 앞서 말한 빽만 믿고 지금껏 회사에서 버티는걸로 보입니다. 5월부터 저한테 하나둘씩 부당대우를 하는데, 사례도 가지가지입니다. 1. 자리를 옮겨라-> 자리를 꼭 옮겨야 하냐고 물었는데 현장 관리를 위해 옮기랍니다. 결국 옮김. 2. 휴일근무한 부분에 대해 대체휴일로 쉬라고 일방지시 -> 땀도 안흘리고 대기탄 시간이 대부분 아니냐며 오히려 당당하게 지시하는거 보고 기가 차서 그냥 대휴로 종결 3. 제 인사만 안받는 부분에 대해 말씀드렸더니 자기는 인사를 받았다고 생각했다더니 나중엔 인간적으로 미안하다고 함 -> 이건 변명도, 사과도 아닌 뻘소리라고 생각 4. 지난달에 업무 시스템 바뀌는 부분 때문에 직원들 야근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심지어 어떤 날은 하루 밤새고 아침 6시 넘어 업무종료된 적도 있음) 매번 칼퇴근 일삼던 사람이 뜻하지 않게 늦게까지(그래봐야 저녁 8시 이내에 퇴근) 남게되니 관리를 개판으로 하네마네 얘기함 -> 이건 시스템 담당하는 업체가 못한 문제지, 제가 관리를 잘못한 부분이 아닙니다. 5. 관리직이다보니 타 직원보다 연봉이 높은건 맞습니다만, 제가 오버타임하는거에 대해 아주 많이 예민하고 심지어 왜 빨리 안가냐고까지 얘기함(그것도 저한테 직접 얘기하는게 아니라 타 직원의 입을 통해 전달함) 6. 결국, 그 사람은 제 권한을 모조리 빼앗고 차석인 직원의 지시를 받고 일하라는 얘기를 들음. 그러면서 업무보고나 이런건 왜 저한테 시키는지 모르겠음. 7. 그 이후로도 무슨 업무지시가 있으면 제3자를 통해 전달하는건 기본이고, 저를 투명인간 취급 및 육체적으로 힘든 일만 골라 시키고 있음. 앞서 기술한 7가지는 그간의 일을 요약해서 말씀드렸으며, 이와 유사한 일이 더더욱 많았습니다. 제가 그간 회사생활하며 일 못한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 한번 없고, 이런 대우는 처음입니다. 이런 일이 반복되다보니 밤에 잠도 못 이룰 정도로 스트레스가 심하며, 회사에서도 괜히 사람들 눈치보는게 일상이 되었습니다. 이런 취급을 받으니 다른 직원들도 저를 대하는게 전같지 않습니다. 하루에도 퇴사할 생각을 10번도 더 하게 되고, 이게 맞는 방법일지 모르겠지만 더 윗사람께 직접 보고드려 타부서로 옮겨달라고 얘기할까도 생각중입니다. 주변 지인들께 고민상담도 해보고 자문도 구해봤는데, 그냥 버티라고밖에 하지 않으시네요. 저도 힘들게 버티고 있는데, 하루하루가 참 쉽지가 않습니다. 현명한 여러분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그만둬야 하는건가요?
23년 07월 12일 | 조회수 2,062
건
건들지마
댓글 8개
공감순
최신순
막
막시막시
23년 07월 13일
1. 은 당연히 따라야하는 사항입니다.
2. 관리자라인은 실무보다 관리업무, 서류업무가 많아 특수한 경우 아니면 야근인정 안해주는 회사많습니다.
3. 이건은 너무 감정적으로 대응한거 같습니다.
일단 상사가 어떤 사유인지 모르나 기분나쁜 상황으로 파악되고 그걸 푸는게 우선인데
상사에게 "미안하다" 말을 얻어내는 건 오히려 감정의 골을 깊게 만들 뿐, 해결되진 않습니다.
4. 이러한 경우에는 사전에 혹은 인지한 시점에서 빠르게 보고해서 상사가 알게 해야합니다.
저정도 대응이면 아마 상사의 상사에게 한소리 들은 겁니다
5. 이건 직접 스무스하게 말하면 되는 데 상사가 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6. 위같은 사유들이 쌓여 마음에서 벗어났나 보네요
파트장은 고참과는 역활이 달라요
상사의 입안의 혀처럼, 분위기를 이끌고 업무를 줄여주고, 부하직원을 컨트롤하는 겁니다.
7. 너무 마음에 안들어 내보내려고 마음먹었나보네요
인간관계를 유하고 유도리있게 해보세요
직장에서 10명의 친한동료보다 1명의 적도 없는 게 유리하답니다.
1. 은 당연히 따라야하는 사항입니다.
2. 관리자라인은 실무보다 관리업무, 서류업무가 많아 특수한 경우 아니면 야근인정 안해주는 회사많습니다.
3. 이건은 너무 감정적으로 대응한거 같습니다.
일단 상사가 어떤 사유인지 모르나 기분나쁜 상황으로 파악되고 그걸 푸는게 우선인데
상사에게 "미안하다" 말을 얻어내는 건 오히려 감정의 골을 깊게 만들 뿐, 해결되진 않습니다.
4. 이러한 경우에는 사전에 혹은 인지한 시점에서 빠르게 보고해서 상사가 알게 해야합니다.
저정도 대응이면 아마 상사의 상사에게 한소리 들은 겁니다
5. 이건 직접 스무스하게 말하면 되는 데 상사가 왜 그런지 모르겠네요
6. 위같은 사유들이 쌓여 마음에서 벗어났나 보네요
파트장은 고참과는 역활이 달라요
상사의 입안의 혀처럼, 분위기를 이끌고 업무를 줄여주고, 부하직원을 컨트롤하는 겁니다.
7. 너무 마음에 안들어 내보내려고 마음먹었나보네요
인간관계를 유하고 유도리있게 해보세요
직장에서 10명의 친한동료보다 1명의 적도 없는 게 유리하답니다.
답글 쓰기
6
좋
좋겠네 부러워요
23년 07월 27일
저도 같은 생각.. 아마 쓰니님은 매몰된듯. 이건 쉬는거밖에 답이 없어요. 차선으론 이직. 일을 잘하건 못하건의 문제가 아니라 쌓여온것이 넘치는것일뿐.. 힘내세요. 극복하면 좋겠지만.. 마음의병이 커지기전에 ..
저도 같은 생각.. 아마 쓰니님은 매몰된듯. 이건 쉬는거밖에 답이 없어요. 차선으론 이직. 일을 잘하건 못하건의 문제가 아니라 쌓여온것이 넘치는것일뿐.. 힘내세요. 극복하면 좋겠지만.. 마음의병이 커지기전에 ..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