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투자 ) 좋은 방법(?)과 투자

2023.07.08 | 조회수 1,014
스티브 영
억대연봉
전략기획(Corporate)
주식은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한명입니다. 얼마전 여기 고수님으로부터 몇 권 추천 받아 읽고 있습니다. 기초 지식을 쌓는 아주 초보 단계라 생각합니다. 1. 블룸버그를 매일 30분씩 봅니다. 경제 뉴스(정보)를 가볍게 접합니다. 2. 미국 Investor 사이트 정보를 받습니다. Buy point와 Early entry 포인트를 참고합니다. 물론 기업 재무상태를 봅니다. 3. 어제 본 블룸버그 뉴스로 국내 뉴스를 참고 합니다. 3. 트위터는 매우 좋은 경제 채널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팔로워는 연결하지 않습니다. 미국 경제 채널과 관련 인사이트가 있는 분이라고 생각하는 분들과 연결합니다. 4. 연합뉴스를 보기는 합니다. 이 정보들도 대부분이 블룸버그 정보의 연속선에 있는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5. 주식 매수를 하고자 하는 경우는 1주를 사서 보초병을 내봅니다. 이후 현재 주식 가격에서 최소 -10%, -15%, -20%에 예약을 걸어 둡니다. 매우 디테일하게 해야합니다. 6. 미국 정책의 변화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는 스스로 확인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7. 대략 이런 방법으로 소소하게 경제 공부도 하고 크지 않은 금액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나쁘지 않은 방법으로 생각합니다. 8. 올해 연말 S&P500 지수는 4,500을 상회할 것으로 보고 미 증시도 나쁘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모두 성투하시기를 바랍니다. 많은 고수님들의 의견은 어떠신지 듣고 싶습니다.
배너 광고 이미지
닉네임으로 등록
등록
전체 댓글 7
2XX
기타 조사분석직
BEST오랜기간 검증된 "개인투자자"의 거래방법을 배워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통상 말하는 투자의 대가들은 기관투자자입니다. 그들 스스로 시세를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또한 그분들 샀다고 하는건 뉴스가 됩니다만 손절한 것은 아주 나중에서나 알게 됩니다. (예: 버핏의 델타항공 칼손절) 말씀하신 "좋은 방법"에서 정답이야 없겠지만 매매관련한 기초는 기술적분석관련 서적을 통해 습득하고 현재시황에 그걸 어떻게 적용할지는 개인투자자로 성공하고 매매결과를 주기적으로 공개하는 분들의 실전매매를 참고하시는게 좋겠다 싶습니다. 여기 있는 분들의 조언이란게(저를 포함해서) 한심한 수준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손절하지 말고 존버해라, 단기투자 하지마라, 투자는 운이지 무슨 공부를 하냐 등등. 그런 분들은 자신의 매매 승률이나 수익팩터조차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남에게 매매에 대해 조언할 수준이 전혀 아닙니다. 개인투자자로 다년간 승률이 검증된 분들의 조언을 받으셨으면 합니다. 추천드리자면, 트레이딩뷰 탑오써였던 팔콘. (해외시장 분석이 매우 날카롭고 매물대 분석이 탁월합니다. 선물거래에 특히 강합니다. 양방향 거래의 달인입니다.)
시윤주식. 국장분석 잘하십니다. 짧은 시간에 샘플을 잘 보여주십니다. 국내주식 현물에 적합합니다.
데이짱 김영옥님. (실전공매도 저자. 추세전환 패턴을 매우 잘 파악하십니다.손익비 좋은 자리에 대한 개념정립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기타 개인고수들이 많겠지만 거래내역을 알 수 있는 트레이더들의 이야기를 신뢰하셨으면 좋겠고 나머지 이야기는 걸러들으시는게 좋지 않을까 감히 말씀드려봅니다.
2023.07.09
6

리멤버 회원이 되면 모든 댓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김커뮤니티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BEST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2020.07.01
154
김커리어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 중
BEST리멤버 회원을 위한 경력 관리 서비스, 리멤버 커리어를 소개합니다. 당장 이직 생각이 없어도, 좋은 커리어 제안은 받아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리멤버 커리어>는 리멤버에서 새롭게 출시한 회원님들을 위한 경력 관리 서비스 입니다. 능력있는 경력직 분들이 <리멤버 커리어>에 간단한 프로필만 등록해두면, 좋은 커리어 제안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단 1분의 투자로 프로필을 등록해두기만 하면, 기업인사팀이나 헤드헌터가 회원님께 꼭 맞는 제안을 직접 보내드립니다. 지금 바로 <리멤버 커리어>에 프로필을 등록하고, 새로운 기회를 만나보세요!
2020.07.01
21
이 게시판의 최신 글
달러 투자, 사람들은 왜 하는 걸까요?
원-달러 환율이 정말 높은 시기입니다. 무려 1달러에 1,469원인데요. 5년 전 이맘때 달러가 1,211원이었으니, 내 돈이 달러였다면 ‘지갑에 넣어놓기만’ 했어도 약 21%가 올랐다는 말입니다. 아무것도 안 했어도 말이죠. 환율이 워낙 높다보니 지금 달러 투자를 해도 되는 건지, 혹은 (간접적으로) 미국 주식에 투자해도 되는 것인지 고민하고 계신 분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함께 미국 증시도 비명을 지르고 있는 상황이니까요. 한편, 환율이 어떻든 간에 꿋꿋이 달러 투자를 이어가고 계신 분들도 있는데요. 친구와 얘기를 나누다가, 마침 좋은 기회다 싶어 리멤버에도 내용을 옮겨봅니다. 달러 투자, 사람들은 왜 하는 걸까요? *투자 추천글 아닙니다. *하단에 요약 있습니다. - 현금, 부동산, 주식 등…… 한국인 대다수는 자산을 원화로 보유하고 있을 겁니다. 그런데 국제 통화 시장에서 원화는 변동성이 큰 위험자산으로 분류됩니다.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로 되어 있고, 원화의 가치가 세계 경기와 무역량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죠. 특히 원화 가치는 IMF 때처럼 한국에 경제 위기가 발생하면 크게 하락합니다. 우리는 앞으로 몇 십년간 자산을 축적해가야 하고, 그 기간 중 (확신하건대) 한 번쯤은 경제위기를 맞이할 수도 있을 겁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달러 자산을 보유하는 것입니다. 경제위기가 발생해 원화 가치가 급락할 수록 달러 가치는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이죠. 달러는 일반적인 글로벌 경제 위기 상황에 오히려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향을 보실 수 있도록 글 하단에 이미지를 첨부하겠습니다. 따라서 달러 자산 보유는 이런 때 내 자산가치의 하락을 방어하며, 오히려 높은 환차익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달러 보유는 경제위기 방어에도 좋지만, 경제 위기를 추가 자산 증식의 기회로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경제위기를 맞이해 폭락한 원화 자산을 매수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경제 위기 상황에서는 너나 할 것 없이 신용 및 현금이 고갈되어 보유한 자산을 빨리 현금화할 필요성이 높아집니다. 이때 우량 기업이나 부동산이 시장에 제값 이하로 매도되기도 하죠. 내 전재산이 원화 자산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내 자산의 가치도 함께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좋은 상품을 발견해도 이걸 사들일 여력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런 시기에 달러 자산을 보유한 경우 ,상대적으로 그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폭넓은 매수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IMF 등 경제위기 상황에서 이런 기회를 잘 살린 이들은, 경제 위기 전후로 큰 자산을 증식하기도 했죠. 내 자산을 원화로만 보유하는 것은, 원화 자산이 좋고 나쁨을 떠나 경제 위기 상황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분산투자의 관점에서건, 환차익을 위해서건 달러 자산은 한국 투자자가 필수로 고려해야 할 옵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약] 1. 경제위기 때 손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2. 심지어 수익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그래서 일반적으로 장기투자에 좋습니다. *첨언 환영입니다! *이미지는 글로벌 주식(파란선)과 달러 환율(붉은선) 그래프입니다. 대체적으로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테라진중독자
은 따봉
 | 게임 개발
4일 전
조회수
1,729
좋아요
75
댓글
72
금요일 파월과 트럼프
둘의 간단한 결론은 금리인하와 돈풀기의 입장차이와 정책방향입니다. 즉, 금리와 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물가는 선행지표, 고용은 후행지표라고들 합니다. 대공황이후의 미국의 경제정책의 방법으로는 대규모의 돈풀기 + 금리인하를 통한 인플레이션으로 경제에 숨통을 띄워주면서 경제를 살리기 위함이었습니다. 하지만, 파월과 트럼프의 입장에서는 많이 다릅니다. 먼저 파월의 입장은 문제는 돈을 풀면 풀수록 문제되는건 돈의 가치가 하락되고 물건의 가치가 올라간다는것입니다. 지금의 문제는 관세정책때문에 궁극적으로 물가를 높이는 문제가 있는데, 여기에 돈을 더 풀어버리면 물가를 잡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수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고용이 늘어나는가? 버틸수 있는가에 대해서의 지표도 사실 불확실성이 매우 높습니다. 우리나라에서의 경우 실업자에 대한 통계는 1시간만 일해도, 적극적으로 구직을 하려는 노력이 있는가의 여부도, 군인도 통계에 빠지고 등등으로 인하여 이리저리 통계에 많이 빠지는 구멍이 있습니다. 그러고도 지금 청년실업이 120만이 찍힌다죠 (시트콤 논스톱의 앤디가 청년실업 유행어 칠때가 40만명이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이라고 다를까요? 그래서 비농업고용지표와 실업률을 같이 봅니다. 비농업고용지표는 매달 발표하는데 파업이나 태풍 등의 여러가지 이슈로 변동사항이 많습니다. 실업률은 고정된 지표이지만 한국의 사례와 같은게 문제가 될 수도 있죠 결론은 둘다 지표를 꾸준히 관찰하면서 미국의 고용이 아직 건재한지를 봐야하는데, 확신이 부족하다고 볼 수도 있을겁니다. 그러니 리스크는 크고, 효과 자체는 미미하거나 적을 수도 있으니 파월로서는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야 할 것이며,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문제라고 말하는 겁니다. 하지만 트럼프의 입장에서는 좀 다릅니다. 기존에 해오던 미국의 정책들의 틀은 금리인하와 돈 풀기를 통하여 해법을 모색해왔기때문에 금리를 내리기에 좋은 시기라고 말하고 있다는 것이죠 최근 미 상원에서 감세와 부채한도 증액에 대해서 통과가 되면서 기업의 이윤증가에 따른 투자증가효과 + 7월로 예상되는 부채한도의 증액으로 자신의 정책을 펼치기에 쓸 돈을 마련한다는 것이죠 이전, 옐런이 미 재무부 채권을 단기로 너무 많이 발행하여, 트럼프가 자신의 정책의 쓸 돈이 없었거든요 거기에 금리가 인하된다면, 부채에 대한 이자도 줄어드는 효과도 상당하다는 장점들이 있죠 제 개인적인 평을 적자면, 감세정책은 큰 효과를 보기 어려울 겁니다. 경제가 어렵고 불확실성이 늘어나는데 투자를 과감하게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투자를 한다고 하더라도 대규모의 투자가 과거처럼 공화당의 지지층인 미국의 백인 블루칼라의 일자리가 늘기보다 화이트칼라의 일자리가 늘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시로 현대자동차의 미국공장만 해도 전기차공장에 돈을 투자하는데 자동화과정이 40%에 육박합니다. 이는 전세계 평균 자동화과정의 4배에 달하는 수치이며, 이에 대한 관리 및 유지보수에 프로그래머 등의 채용이 늘어날 것이지, 생산을 담당하는 생산직 노동자의 채용은 전보다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머스크도 2018년 자동화공정 100%에 도전했다가 실패한 적이 있습니다. 아직 자동화공정에 있어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부분은 많으며, 수많은 자동화공정에 필요한 기계의 오류를 해결하는데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무튼 파월의 임기는 상당히 많이 남았고, 어느 쪽의 파워게임과 정치적인 결정인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것입니다. 그러나 빠르게 대처해도 상반기내에 해결의 실마리는 결코 보이지 않을 것이며, 어쩌면 지속된 문제는 1년이 넘는 시간동안의 해결 불가능한 문제로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 기사 내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326 트럼프 "정치 말고 금리 내려라"…파월 "관세로 인플레·침체 우려 토요일 새벽에 있었던 일들입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50405201805852 美상원, 트럼프 감세정책 뒷받침 예산 결의안 가결…부채한도도 증액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77605 차문마저 로봇이 달았다 … 현대차 美서 '완전 자동화' 시동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545440 위기 몰린 머스크 반성문 “과도한 공장 자동화는 실수였다
기억은저편넘어 | 물류관리·SCM
5일 전
조회수
180
좋아요
1
댓글
2
아프네요 ㅠㅜ
4월들어 거의 6-7만불의 평가액 날라갔네요 ㅎ 회사 열심히 다니고 앞으로는 버핏형님을 잘 따라야겠네요 ㅠㅜ 4월7일 업데이트: 어허... 더 떨어지고 있습니다 ㅋㅋㅋ 아니 Hang tough라더니... 을마나 더 떨어질려구 ㅋㅋㅋ
꿈꿔라
금 따봉
 | 기술영업·SE
6일 전
조회수
2,858
좋아요
104
댓글
98
연금저축 먼저? 개인투자 유지? 고민입니다
30대 직장인입니다. 현재 비트코인과 미국 ETF에 매달 20~30만 원 정도 소액 투자 중입니다. 최근 연금저축에 관심이 생겼는데, 월 50만 원씩 넣어야 연간 세액공제 한도(600만원)를 채운다고 하니 솔직히 좀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연금은 수익률 체감도 어렵고, 중도 인출도 어렵다는 점도 고민이고요. 반면 지금 하고 있는 투자는 나름의 기대감이 있어 당장 줄이기가 망설여집니다. 수익률은 연 5~6% 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개인투자를 줄이고 연금저축에 우선순위를 두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지금은 개인 주식투자를 이어가도 괜찮을까요? 비슷한 고민 해보신 분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맛없는호박죽
금 따봉
 | 모션·영상 디자인
04.02
조회수
6,833
좋아요
152
댓글
135
오랜만에 들렀네요
여기 분위기가 적대적이라 안 썼는데 부동산에 물려서 울고 있고, AI 투자 안해서 벼락거지 안되신 분들 없죠? 다들 잘 벌고 털고 나오신거죠?? 3년전에 쓴 글들이 많이 도움되었길 바래요 분위기가 너무 적대적이었는데 하하 여기 다시 온 이유는… 미국주식 빅7 있는거 아직도 안 빼셨으면 빼시라고요 분할매수면 상관없는데 ㅎㅎ
기억은저편넘어 | 물류관리·SCM
04.01
조회수
363
좋아요
4
댓글
8
투표 퇴직금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최근에 이직했는데 퇴직금 7,500만원 정도 들어왔습니다. IRP계좌 해지하는경우 예상실수령액 7,300만원이구요. 현재 자가 있는 상태고 아파트대출이 5천정도 있어서 일시금으로 수령 후 미국주식 ETF, 개별주 투자하고 고정금리 만기되는 6월에 대출 상환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모든 분들 소중한 의견 및 조언 감사합니다! 오늘 대출 전액 상환했습니다...마음이 너무 후련합니다 ㅎ
TD21
은 따봉
 | 해외B2B영업
03.29
조회수
2,774
좋아요
82
댓글
58
주식방송 하는 사람들 보면 문자 주라고 하던네
주식 방송 보면 주식 정보 알려 준다고 문자글 보내라고 하던데... 순수하게 정보를 주기 위함일까요? 아니면 다른 용도로 활용?? 홍보? 목적이 뭘까요?
소미옴
쌍 따봉
 | 마케팅 전략·기획
03.27
조회수
1,683
좋아요
77
댓글
73
신혼부부 현금 4억 있는데.. 서울에 매수할만한데가 있을까요?
29살 부부 둘이 합쳐서 현금 4억 있습니다 세후소득은 둘 합쳐 성과급 빼고 800-900사이인거 같구요 근무지가 각각 마포, 여의도라 서울 서쪽이나 5호선 라인이었음 하는데 서울은 힘들겠죠….
소주병
은 따봉
 | 기타 금융직
03.26
조회수
3,301
좋아요
67
댓글
87
마포 에피트 어바닉 매매하려는데 어떤가요
마포 에피트 어바닉 아파트 46타입이 11억 정도 하는데 지금 사면 오를것 같아서요
중개 | 부동산 개발·분양·경매
03.26
조회수
247
좋아요
1
댓글
4
투표 집을 매매 전세 한다면 고층? 중간층? 저층?
집을 매매 전세 한다면 고층? 중간층? 저층? 어떤 게 좋을까요? 신혼 부부인데 2세 계획은 있습니다
소미옴
쌍 따봉
 | 마케팅 전략·기획
03.24
조회수
223
좋아요
2
댓글
8
주식하시는 분들 중에 신용으로 하시는 분들도 계실까요?
다른게 아니라 SK증권에서 약 3달 동안 연 이자 4.25로 인하해준다 하는데 이 정도면 꽤 괜찮은 게 아닌 가 싶어서요 근데 주변에서 신용으로 주식하시는 분들이 거의 없어서 신용으로 하는 게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고객센터는몇시시
은 따봉
 | 기타 마케팅직
03.21
조회수
1,646
좋아요
82
댓글
89
리멤버 포인트로 뭐 사시나요?
커피만 샀는데 모아서 다른 거 살까 생각했다가 가격보고 포기 ㅠ
소미옴
쌍 따봉
 | 마케팅 전략·기획
03.20
조회수
1,581
좋아요
155
댓글
161
hlb ㅠ 어떻게 될까요?? ㅠ
망하는 거 아니겠죠?? ㅠ 적자 회사 인데 FDA 승인 불발 ㅜ 에이치엘비 회사 미래 가치 있을까요?
소미옴
쌍 따봉
 | 마케팅 전략·기획
03.20
조회수
2,455
좋아요
79
댓글
68
취미로 할 수 있는 술 부업
취미로 할 수 있는 술 부업이 있을까요? 저는 돈욕심도 없고, 성공에 대한 욕심도 없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술이고, 그냥 직장끝나고 야간에 양주 바 같은거, 혹은 소개팅 주선 부업같은거나 해볼까 생각중인데, 이건 현실적으로 몸이 갈리는거라... 혹시 직장에 다니면서 술과 관련된 사업(?) 취미(?) 공유 부탁드려도 될까요? 돈은 못벌어도 됩니다. 월에 -100만원정도 손해나는 선에서 재밌고 흥미로운 일이 있으면 제발 공유해주세요, 요즘 삶이 너무너무너무 무료합니다.ㅜㅜ
지주사도비
은 따봉
 | 사업전략·기획
03.20
조회수
273
좋아요
2
댓글
2
이번주 경제 이슈 사항
2025년 3월 12일 현재, 이번 주(3월 10일~3월 16일) 경제 주요 이슈 사항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최근 웹 자료와 X 게시물을 종합하여 도출한 내용으로, 한국 및 글로벌 경제 동향을 중심으로 다룹니다. 1. 미국 경제 지표 발표와 시장 반응 • 주요 이벤트: 이번 주는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집중된 시기입니다. ◦ 3월 11일 (화): 미국 1월 JOLTs 구인건수 발표 - 노동 시장 동향 파악. ◦ 3월 12일 (수):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인플레이션 추세 확인. ◦ 3월 13일 (목): 미국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및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물가와 고용 상황 점검. ◦ 3월 14일 (금): 미국 3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 소비자 기대 심리 반영. • 이슈: CPI와 PPI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예상보다 높은 수치가 나오면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X 게시물에서는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함께 유가 하락(브렌트유 및 WTI $70 아래) 및 주식 선물 약세가 언급되고 있어,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2.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통상 정책 • 트럼프 정책 영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특히 캐나다, 멕시코, 중국 대상)이 이번 주 시장의 주요 불안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X에서는 S&P 500이 9월 이후 최대 주간 손실을 기록했다고 보도되었으며, 이는 관세 결정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으로 보입니다. • 유럽과 중국 대응: 유럽은 방위비 지출 확대를 논의 중이며, 중국은 미국 관세 충격을 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교역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3. 한국 경제 관련 동향 • 내수 부진 지속: KDI 경제전망(2025년 2월)에 따르면, 고금리와 정국 불안으로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있으며, 2025년 성장률 전망이 1.6%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번 주 발표될 미국 지표가 글로벌 금리와 환율에 영향을 미치면, 한국의 수출과 내수에 추가 압력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 수출 의존도: 반도체 중심의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반도체 경기 둔화(WSTS 전망 하향: 25.2% → 13.4%)와 통상 환경 악화로 수출 증가세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기타 주목할 이슈 • 일본 GDP 발표 (3월 11일): 일본의 경제 성장률이 글로벌 투자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미국 정부 셧다운 우려: 3월 15일(토)로 예정된 미 정부 예산 협상 실패 시 셧다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금융 시장에 추가 불확실성을 더할 수 있습니다. 종합 이번 주는 미국 경제 지표 발표와 트럼프의 통상 정책 불확실성이 글로벌 및 한국 경제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 내수 부진과 수출 둔화 리스크 속에서 환율(원화 약세)과 금리 동향을 주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시장 참여자들은 특히 CPI 발표(3월 12일)와 그에 따른 연준의 향후 행보를 예의주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모리스75 | 마케팅 전략·기획
03.13
조회수
183
좋아요
1
댓글
0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2019.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