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과연 전통파 기획자가 없는 상태에서 주니어가 혼자서 디자인과 기획을 효율적으로 성과 추출을 잘 할수 있을까요?
잘하는 기획자를 통해 상위 기획, 하위 기획, 로그 분석, 프론트 및 백엔드 정책 수립, 사업 전략과 함께 수 많은 문서를 습득하여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되는건데 2번은 그냥 맨땅에 헤딩도 큰 문제긴 한데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어떠한 목적으로 성과분석을 할 것인지? 분석자체가 난해하겠네요. 최악은 저조할 수도 있구요.
다들 이유가 있으니 분업이 있는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리고 직무에 대한 교육과 실무에 적용되는 물리적인 소요시간, 투자시간을 고려 해야겠죠?)
에이전시는 디자인 납품과 생산성 중심이니 명확한 롤로 사업이 전개되는데 스타트업은 그렇지 않죠. 물론 기획자의 성향이나 사문화에 따라서 케바케로 상황이 펼쳐지겠지만, 디자이너가 서브로 기획 참여를 통해 오히려 빠르게 서비스기획 업무 롤과 아레나 습득가능합니다.
또한 에이전시와 달리 스타트업은 프로덕트 구축과 운영을 해야하기 때문에 프론트와 백엔드의 정책 정의, 데이터 파이프라인 고려한 디자인, VOC 까지 폭넓게 들어갈겁니다.
(그래서 저는 후배나 주니어 디자이너 한테 일 잘하는 서비스 기획자 상위 기획부터 하위 기획문서 수급해서 꼼꼼히 분석하고 그대로 업무에 적용해보고, 닮아가라고 조언합니다. 앞지르지 말고 꾸준히 따라가서 그분의 스타일을 흡수만해도 휼륭하고 대단히 효율적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주니어 레벨에서 단순히 와이어 프레임만 그린다면 단순 하위 기획 혹은 운영 기획 중심이기 때문에, 서비스 기획 측면으로 프로덕트 디자이너라고 말하기도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쉽게 말하면 와이어 단계에서 기획의 정숙성이 많이 떨어질껍니다. 그리고 기획적인 관점보다 디자인의 관성이 많이 투영되기 때문에 와이어랑 GUI랑 그다지 큰 차이도 없을겁니다.
또란 전통파 기획자에 비해서 기획력이 부족한 부분이 군데군데 나올 확률도 높고, 사업에 대한 기능정의나 운영 코스트 고려한 아젠다가 엄청 부족한 문서가 나올 확률이 대단히 큽니다.
만약 서비스가 초기 인프라 구조가 복잡하거나 테크 중심이면 개발자랑 직접 소통을 해야하는데 멘붕이 올껍니다.
(가끔 면접시 데이터 드리븐 디자인 해봤다는 경력 디자이너 한테 로우 데이터 분석을 해봤는지? 최소한 엑셀 피벗 해봤냐고 물어봤을때 안해봤다고 하면 데이터 드리븐 디자인 경험이 없다고 저는 판단합니다.)
(수정됨)
2023.06.06
리멤버 회원이 되면 모든 댓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BEST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2020.07.01
BEST리멤버 회원을 위한 경력 관리 서비스, 리멤버 커리어를 소개합니다.
당장 이직 생각이 없어도, 좋은 커리어 제안은 받아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리멤버 커리어>는 리멤버에서 새롭게 출시한 회원님들을 위한 경력 관리 서비스 입니다. 능력있는 경력직 분들이 <리멤버 커리어>에 간단한 프로필만 등록해두면, 좋은 커리어 제안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단 1분의 투자로 프로필을 등록해두기만 하면, 기업인사팀이나 헤드헌터가 회원님께 꼭 맞는 제안을 직접 보내드립니다.
지금 바로 <리멤버 커리어>에 프로필을 등록하고, 새로운 기회를 만나보세요!
2020.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