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1억 뱃지 시행 후 과연 찐 1억 수준은 얼마나 있을까 문득 궁금합니다. 물론 저는 앞자리 1억은 은퇴전에 불가능할거라고 미리 말씀드립니다. 저도 주위 보면서 스펙이나 커리어가 뛰어난 사람이 아닌데 연봉 8천~1억 된다는분들 일부 알고 있는데 실상 그 연봉이 야근에 철야근무 주말 출근등등 근로 시간이 일반 직장인 대비 1.7~2배 됩니다. 외노자분들 공단에서 몸갈아 넣어서 실수령 600언저리 보니 기계처럼 일하면 누구나 가능 하겠구나 싶기도 합니다. 죽도록 몸을 갈아 넣으니까 많이 받는게 이해와 납득이 되더군요... 나름 제가 생각한 찐 1억 기준입니다. 1. 1년 365일 월~금 주 5일 8시간 칼퇴 기준 2. 부장 미만(12~15년 과차장 수준) 3. 특근 및 야근 야간 없이 국가 지정 공휴일 모두 휴무 + 유급 휴가 모두 사용 4. 인센없이 계약서 싸인 연봉 기준(제일 핵심) 5. 자영업 및 전문직 아닌 일반 기업 소속된 직장인 6. 학력기준 학사 및 이하 학력 7. 해외 파견 및 해외 근무 아닌 한국내 근무 기준 8. 영업과 같은 실적과 성과에 따른 급여 변동 직종 제외 9. 투자 수익, 투잡등 제외한 100% 순수 재직중인 회사 연봉 기준(4대 보험 가입 및 근로소득 납부) 10. 가족 및 친인척 찬스 기업 대상자 제외. 대략 이 정도 수준이면 찐 억대 연봉자는 많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이 기준으로 연봉 1억 이상 찍는분 있으신가요??
23년 03월 19일 | 조회수 16,531
누
누구겡
댓글 84개
공감순
최신순
무
무식이
억대연봉
23년 03월 19일
글쎄요.. 연봉 1.5까지는 계약 연봉이 중요하지만.. 이후 부터는 2억 되봐야 실수령액 1200만 정도에 불과하고.. 3억 되도 실 수령액은 2000만도 안되고..
23년차 임원 레벨인데 계약은 2.0억입니다.
다만.. 퇴직 적립금 3배, 스톡+스톡옵션 정례 지급, 전가족 건강 검진, 주유비, 차량 보험, 매월 체크 없는 한도 100만원.. 연봉으로 따지는건.. 아직 경험할게 많이 남았다는 이야기입니다.
연봉보다는 회사가 부담하는 이런저런 혜택을 많이 받아 내는게 중요합니다.
...더보기
답글 쓰기
68
쿠
쿠치
23년 03월 21일
임원레벨은 다르네요. 임원전에는 불가능한 복지겠지요?
임원레벨은 다르네요. 임원전에는 불가능한 복지겠지요?
0
S
Startup7
23년 03월 21일
글에 공감합니다.
무식이님 말씀처럼 1억 중반 넘어가면 세금을 많이 떼기 때문에 다른것에서 이익을 취하는게 임직원과 회사가 서로 좋습니다. 세금과 경비처리 관련..
그리고 물가가 많이 올랐기때문에 10년전과 지금의 연봉 1억 차이는 많이 큽니다. (요즘은 1억받아도 서울에서 자가 없이 결혼 했다면 외벌이로 아이 키우기 빠듯해요ㅜ ㅜ)
...더보기
3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