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로 기준을 협의하는 것이 좋죠. 기준을 협의하는 건 결과가 나오기 전에 서로 어느 방향을 보고 있는지 맞춰봐야 하구요. 저는 그걸 사전 목표 협의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 때 S~D까지 평가를 주겠노라 라고 설정한 후 그게 높은지 낮은지 상호 협의를 거쳐서 목표를 설정하죠. 중간중간 체크하면서 방향이 맞는지 목표는 맞는지 확인도 해야 하구요. 이런걸 하지 않고 매번 결과만 가지고 이야기하려고 하면 인사평가는 망합니다. 그리고 상대평가로 누가 누구보다 잘했으니, 못했으니 넌 A야 B야 라고 하면 누가 받아들이나요? 앞서 말한 수용성이 확 떨어지게 되죠. 인사평가는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순 없지만 인사 담당자가 과정을 잘 운용한다면 회사의 방향성과 목표의 달성, 그리고 직원의 수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됩니다. 그게 안된다면 회사는 점점 성과와 멀어지게 되고, 정치꾼들이 아첨하는 세상이 오겠죠. 인사평가는 평가할 때 한번만 펼쳐보고, 불만이 생기면 다음에 잘해줄게라는 말로 넘어갈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해서 그냥 주저리주저리 적어봤습니다.
인사평가는 수용성이 중요한데
23년 03월 13일 | 조회수 750
후
후루탕탕
댓글 2개
공감순
최신순
인

인술레이터
23년 03월 15일
말은 쉽죠. 평가보상 수십년 해보고 절대평가 상대평가 나인블럭 okr 수시피드백 등등 해봤지만 평가는 뭘로해도 불만들 있고 평가는 결국 인사가 아니라 현업 리더가 하는겁니다. 평가는 제도로 개선되는게 아니라 문화와 회사리더의 수준 따라갑니다
말은 쉽죠. 평가보상 수십년 해보고 절대평가 상대평가 나인블럭 okr 수시피드백 등등 해봤지만 평가는 뭘로해도 불만들 있고 평가는 결국 인사가 아니라 현업 리더가 하는겁니다. 평가는 제도로 개선되는게 아니라 문화와 회사리더의 수준 따라갑니다
답글 쓰기
2
쵸
쵸로로
23년 03월 15일
당연한 이야기죠.
인사는 인사팀이 리더와 같이 하는거죠.
제도를 리더에게 설명하는 것이 인사팀의 1차 역할이구요.
당연한 이야기죠.
인사는 인사팀이 리더와 같이 하는거죠.
제도를 리더에게 설명하는 것이 인사팀의 1차 역할이구요.
0
황
황소1132
23년 03월 15일
마지막 문장 공감합니다. 제도가 아무리 좋아도 곡해하는 리더가 있다면 무용지물
마지막 문장 공감합니다. 제도가 아무리 좋아도 곡해하는 리더가 있다면 무용지물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답글 쓰기
0
리
리멤버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19년 05월 28일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일하는 사람과 기회를 연결하여 성공으로 이끈다
답글 쓰기
0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