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코스피 우량주 수익률

2022.12.19 | 조회수 1,461
momoya
기술영업·SE
결국 개인만 다 털렸네요.. 곡소리가 안 나올 수가 없지 (올해 1월부터 12월 16일까지)
첨부 이미지
배너 광고 이미지
닉네임으로 등록
등록
전체 댓글 7

리멤버 회원이 되면 모든 댓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김커뮤니티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했었음
BEST회사에서 풀지 못한 고민, 여기서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풀지 못한 실무적인 어려움, 사업적인 도움이 필요한 적이 있으셨나요? <리멤버 커뮤니티>는 회원님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과 이러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입니다. 회원 가입 하고 보다 쉽게 같은 일 하는 사람들과 소통하세요
2020.07.01
154
김커리어
@멘션된 회사에서 재직 중
BEST리멤버 회원을 위한 경력 관리 서비스, 리멤버 커리어를 소개합니다. 당장 이직 생각이 없어도, 좋은 커리어 제안은 받아보고 싶지 않으신가요? <리멤버 커리어>는 리멤버에서 새롭게 출시한 회원님들을 위한 경력 관리 서비스 입니다. 능력있는 경력직 분들이 <리멤버 커리어>에 간단한 프로필만 등록해두면, 좋은 커리어 제안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단 1분의 투자로 프로필을 등록해두기만 하면, 기업인사팀이나 헤드헌터가 회원님께 꼭 맞는 제안을 직접 보내드립니다. 지금 바로 <리멤버 커리어>에 프로필을 등록하고, 새로운 기회를 만나보세요!
2020.07.01
21
이 게시판의 최신 글
20대 서울 집 매매
안녕하세요. 저는 만 23세, 어릴 적부터 힘든 환경 속에서도 열심히 살아온 청년입니다. 10대 때부터 가정 형편이 좋지 않아 3평 고시원에서 혼자 생활을 시작했고, 지금까지 자립하며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살아왔습니다. 대학은 방통대를 졸업했고, 현재는 5년째 회사에서 직장 생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혼자 살아서 지금까지 이사를 일곱 번이나 했고, 최근에도 다시 자취방을 구해야 하는 상황이라 현실적으로 시간과 비용이 너무 아깝게 느껴집니다. 점점 지쳐가기도 하고요. 그래서 요즘은 서울권 내 신축 빌라나 구축 아파트 매매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서울 사람이 아니라 지역 정보에 어두운 편이라, 인생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 싶어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현재 모은 돈은 약 1억 원이고, 월 수입은 세후 기준 약 500만 원 정도입니다. 무리하다는 건 알지만, 최대 5억 원까지 대출을 포함해 매매를 고려 중입니다. 물론 대출 이자와 유지비용 등을 생각하면 이게 맞는 결정인지 고민이 많이 됩니다. 월세로 계속 사는 것도 나름의 장점은 있지만, 월세도 결코 저렴하지 않고 무엇보다도 이제는 좁고 열악한 공간에서 또다시 시작하고 싶지는 않다는 마음이 큽니다. 현실적인 시세와 생활 편의성을 고려했을 때, 서울 내에서 5억 원 이하로 실거주가 가능한 지역이 있다면 추천도 받고 싶고, 제가 놓치고 있는 점이 있다면 조언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태크잘하규싶어 | 데이터 엔지니어
13시간 전
조회수
995
좋아요
22
댓글
20
S&P500 투자, 9월에 하면 위험하다?
미국의 대표지수하면 어떤 이름이 떠오르시나요? 많은 분들이 S&P500 지수를 가장 먼저 떠올리실 겁니다. 미국 상장 기업 중 시가총액 상위 500개로 구성된 대표적인 주가지수죠. 트럼프의 관세 정책 이후로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꾸준한 상승 흐름을 보여온 만큼 지금도 많은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지수입니다. 그런데 과거 데이터를 살펴보면, 특정 시점에 투자했을 때 수익률이 유독 좋았던 경향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1975년부터 2024년까지 50년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언제 S&P500에 투자하면 더 유리했는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오늘부터 든든이 여러가지 금융 콘텐츠로 리멤버 회원 여러분들과 함께합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리며, 앞으로 여러분들의 금융 관심사를 댓글로 남겨주시면 관련 콘텐츠 기획에 최대한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 ※ 이 글은 통계를 기반으로 작성된 것으로, 실제 투자에서는 시장 상황을 함께 고려하셔야 합니다. ───── 👍 지난 50년 간의 월별 수익률 : 11월이 가장 좋았습니다. 먼저, 월별 평균 수익률을 살펴보겠습니다. 1975년부터 2024년까지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가장 높은 수익률은 11월(2.12%)로, 가장 낮은 수익률은 9월(-0.88%)로 나타났습니다. 월별 평균 수익률은 그래프를 함께 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 전반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월: 상승 흐름 - 2월: 다소 조정 - 3~4월: 상승 흐름 - 5~6월: 상승폭 감소 - 7월: 반등 - 8~9월: 하락 흐름 - 10월~12월: 상승 흐름, 특히 11월에는 최고치 기록 → 글 하단 이미지 참고 ───── ✅ 수익과 손실이 발생한 횟수 지난 50년 간 수익/손실로 마감한 횟수를 살펴보면 어떨까요? 신기하게도 이것 역시 비슷한 결과가 나타납니다. - 11월 : 수익 37회 / 손실 13회 (가장 안정적) - 9월 : 수익 22회 / 손실 28회 (모든 달 중에 유일하게 손실 횟수가 더 많습니다) 월별 수익/손실 마감 횟수를 수익 확률로 정리해보면 이렇게 나타납니다. - 수익 확률 70% 이상: 4월, 11월, 12월 - 수익 확률 60% 이상: 1월, 3월, 5월, 6월 - 수익 확률 50% 이상: 2월, 7월, 8월, 10월 - 수익 확률 50% 미만: 9월 → 통계적으로만 살펴보면 9월은 보유를 피하고, 4월이나 11월엔 투자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유리할 수 있겠네요. ───── 🤔 최근 10년, 20년간의 흐름도 비슷할까? 지난 50년 간의 데이터도 좋지만, 최근 10년과 20년만 살펴보면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겠죠. 이번에는 최근 10년과 20년으로 기간을 좁혀 살펴보았습니다. 월별 구체적 데이터를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하단에 그래프를 첨부합니다. 기간을 좁혀 확인해보면 이번 데이터도 거의 동일한 패턴을 보여줍니다. 특히 11월은 꾸준히 가장 강한 수익률을 보였고, 9월은 부정적인 흐름이 반복되었습니다. 최근 10년 기준으로는 7월과 11월이 모두 평균 3%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7월은 전체 50년 기준으로 수익 확률이 간신히 50%를 넘는 수준이기에 만약 본인이 자주 투자하는 분이 아니라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 💡 결론: 통계적으로 유리한 전략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 접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4월부터 5월까지 투자 후 매도 2. 10월 말에 다시 진입해서 11월~12월 보유 이 방식은 장기 통계를 기준으로 봤을 때 수익 확률과 평균 수익률 모두에서 유리한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물론, 이는 단순한 데이터 기반 전략일 뿐이며 실제 투자에서는 현재의 시장 분위기와 투자 심리를 반드시 고려해야겠죠. ───── 혹시 여러분은 어떤 시기에 투자했을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으셨나요? 또는 예상과 달리 손실을 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9월에도 성공적인 투자를 해보신 분이 있다면, 특히 그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댓글로 여러분의 경험이나 생각을 나눠주세요! 다른 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 1 : 50년 간의 S&P500 월별 평균 수익률 그래프 *이미지 2 : 50년 간의 S&P500 월별 수익 및 손실 횟수 *이미지 3 : 10년 단위로 살펴본 S&P500 월별 평균 수익률 *본 콘텐츠는 리멤버x든든의 파트너십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
든든 dndn
은 따봉
 | 로보어드바이저 AI 자산관리
14시간 전
조회수
1,855
좋아요
31
댓글
9
[지표&이슈] 부자들 투자도 '세대차이'
* [지표 & 이슈]는 주요 경제지표와 함께 오늘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본 경제뉴스/이슈를 알려드리는 코너입니다. ☕ 요즘 부유층 사이에서도 ‘금, 국채, 예금’ 같은 안전자산 선호가 강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40대 이하 ‘영리치’들은 여전히 코인과 해외주식으로 수익을 노리는 모습이네요. 세대에 따라 자산을 굴리는 방식에도 확실한 차이가 느껴지는 모습입니다. 그 밖에 다른 주요 뉴스들도 한 번 살펴보시고 현안에 대한 의견들도 댓글로 달아주세요! * 2025년 04월 17일 오전 9시 기준, 작성된 내용입니다. 📰 주목할 만한 뉴스 5선 1. “얘야 그건 너무 위험해” “아버지, 시대가 변했어요”…부자들 투자도 ‘세대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77698 2. AI칩 대중 수출 통제 강화·파월 경고에 기술주 급락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20302 3. “한화, 삼성 다 막혔는데 여긴 왜?” 이재명 테마株 속전속결 유증심사 통과 논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69949 4. 부자아빠 "저축하는 사람은 패배자"…'이것' 투자해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188483 5. 선착순 1.6만명 벌써 마감…신한銀 '이 계좌' 뭐길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474987 📊 오늘의 주요지수 - S&P500 지수 : 5,275.70 (▼ -120.93, -2.24%) - 나스닥 지수 : 16,307.16 (▼ -516.01, -3.07%) - 다우존스 지수 : 39,669.39 (▼ -699.57, -1.73%) - 코스피 지수 : 2,442.78 (▼ 4.65, -0.19%) - 코스닥 지수 : 699.04 (▼ 0.07, -0.01%) - 원-달러 환율 : 1,417.50 (▲ 0.50, +0.04%) *본 콘텐츠는 리멤버x든든의 파트너십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입니다.
든든 dndn
은 따봉
 | 로보어드바이저 AI 자산관리
16시간 전
조회수
385
좋아요
18
댓글
11
와우!!! 정말 큰 산 하나 넘었슈!!
작년에 판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 올해 회사에서 받은 RSU에 붙은 세금때문에 4월, 5월에 낼 세금 폭탄 맞아서 지난 2주간 정말 피 말렸는데... (이거 고민하느라 정말 지난 2주간 낙이 없었네요..) 그런데 다행히 4월에 이직하면서 전에 다녔던 회사에서 세금 환급받고, ESPP산거 다시 밷어내면서 그 돈 고스란히 받으니 정말 정확히 (거의 만원 단위까지)세금 낼 돈이 마련되네요.... 와!! 팔자에 돈 때문에 여유는 많지 않아도 필요할 때마다 돈이 들어온다고 했는데 50년 넘게 살면서 제 돈복을 다시 한번 실감했네요..ㅋㅋ.. 오늘 집에서 맛난 술과 뼈해장국 하니 기분이가 좋네요..^^..
외국계26년차
억대연봉
 | 기술영업·SE
어제
조회수
448
좋아요
2
댓글
1
달러 투자, 사람들은 왜 하는 걸까요?
원-달러 환율이 정말 높은 시기입니다. 무려 1달러에 1,469원인데요. 5년 전 이맘때 달러가 1,211원이었으니, 내 돈이 달러였다면 ‘지갑에 넣어놓기만’ 했어도 약 21%가 올랐다는 말입니다. 아무것도 안 했어도 말이죠. 환율이 워낙 높다보니 지금 달러 투자를 해도 되는 건지, 혹은 (간접적으로) 미국 주식에 투자해도 되는 것인지 고민하고 계신 분도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함께 미국 증시도 비명을 지르고 있는 상황이니까요. 한편, 환율이 어떻든 간에 꿋꿋이 달러 투자를 이어가고 계신 분들도 있는데요. 친구와 얘기를 나누다가, 마침 좋은 기회다 싶어 리멤버에도 내용을 옮겨봅니다. 달러 투자, 사람들은 왜 하는 걸까요? *투자 추천글 아닙니다. *하단에 요약 있습니다. _ 현금, 부동산, 주식 등…… 한국인 대다수는 자산을 원화로 보유하고 있을 겁니다. 그런데 국제 통화 시장에서 원화는 변동성이 큰 위험자산으로 분류됩니다. 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로 되어 있고, 원화의 가치가 세계 경기와 무역량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죠. 특히 원화 가치는 IMF 때처럼 한국에 경제 위기가 발생하면 크게 하락합니다. 우리는 앞으로 몇 십년간 자산을 축적해가야 하고, 그 기간 중 (확신하건대) 한 번쯤은 경제위기를 맞이할 수도 있을 겁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달러 자산을 보유하는 것입니다. 경제위기가 발생해 원화 가치가 급락할 수록 달러 가치는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이죠. 달러는 일반적인 글로벌 경제 위기 상황에 오히려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향을 보실 수 있도록 글 하단에 이미지를 첨부하겠습니다. 따라서 달러 자산 보유는 이런 때 내 자산가치의 하락을 방어하며, 오히려 높은 환차익을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달러 보유는 경제위기 방어에도 좋지만, 경제 위기를 추가 자산 증식의 기회로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경제위기를 맞이해 폭락한 원화 자산을 매수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경제 위기 상황에서는 너나 할 것 없이 신용 및 현금이 고갈되어 보유한 자산을 빨리 현금화할 필요성이 높아집니다. 이때 우량 기업이나 부동산이 시장에 제값 이하로 매도되기도 하죠. 내 전재산이 원화 자산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내 자산의 가치도 함께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좋은 상품을 발견해도 이걸 사들일 여력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런 시기에 달러 자산을 보유한 경우 ,상대적으로 그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폭넓은 매수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IMF 등 경제위기 상황에서 이런 기회를 잘 살린 이들은, 경제 위기 전후로 큰 자산을 증식하기도 했죠. 내 자산을 원화로만 보유하는 것은, 원화 자산이 좋고 나쁨을 떠나 경제 위기 상황에서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분산투자의 관점에서건, 환차익을 위해서건 달러 자산은 한국 투자자가 필수로 고려해야 할 옵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약] 1. 경제위기 때 손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2. 심지어 수익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그래서 일반적으로 장기투자에 좋습니다. *첨언 환영입니다! *이미지는 글로벌 주식(파란선)과 달러 환율(붉은선) 그래프입니다. 대체적으로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테라진중독자
금 따봉
 | 게임 개발
04.07
조회수
2,672
좋아요
157
댓글
130
금요일 파월과 트럼프
둘의 간단한 결론은 금리인하와 돈풀기의 입장차이와 정책방향입니다. 즉, 금리와 인플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물가는 선행지표, 고용은 후행지표라고들 합니다. 대공황이후의 미국의 경제정책의 방법으로는 대규모의 돈풀기 + 금리인하를 통한 인플레이션으로 경제에 숨통을 띄워주면서 경제를 살리기 위함이었습니다. 하지만, 파월과 트럼프의 입장에서는 많이 다릅니다. 먼저 파월의 입장은 문제는 돈을 풀면 풀수록 문제되는건 돈의 가치가 하락되고 물건의 가치가 올라간다는것입니다. 지금의 문제는 관세정책때문에 궁극적으로 물가를 높이는 문제가 있는데, 여기에 돈을 더 풀어버리면 물가를 잡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수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고용이 늘어나는가? 버틸수 있는가에 대해서의 지표도 사실 불확실성이 매우 높습니다. 우리나라에서의 경우 실업자에 대한 통계는 1시간만 일해도, 적극적으로 구직을 하려는 노력이 있는가의 여부도, 군인도 통계에 빠지고 등등으로 인하여 이리저리 통계에 많이 빠지는 구멍이 있습니다. 그러고도 지금 청년실업이 120만이 찍힌다죠 (시트콤 논스톱의 앤디가 청년실업 유행어 칠때가 40만명이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이라고 다를까요? 그래서 비농업고용지표와 실업률을 같이 봅니다. 비농업고용지표는 매달 발표하는데 파업이나 태풍 등의 여러가지 이슈로 변동사항이 많습니다. 실업률은 고정된 지표이지만 한국의 사례와 같은게 문제가 될 수도 있죠 결론은 둘다 지표를 꾸준히 관찰하면서 미국의 고용이 아직 건재한지를 봐야하는데, 확신이 부족하다고 볼 수도 있을겁니다. 그러니 리스크는 크고, 효과 자체는 미미하거나 적을 수도 있으니 파월로서는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야 할 것이며,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문제라고 말하는 겁니다. 하지만 트럼프의 입장에서는 좀 다릅니다. 기존에 해오던 미국의 정책들의 틀은 금리인하와 돈 풀기를 통하여 해법을 모색해왔기때문에 금리를 내리기에 좋은 시기라고 말하고 있다는 것이죠 최근 미 상원에서 감세와 부채한도 증액에 대해서 통과가 되면서 기업의 이윤증가에 따른 투자증가효과 + 7월로 예상되는 부채한도의 증액으로 자신의 정책을 펼치기에 쓸 돈을 마련한다는 것이죠 이전, 옐런이 미 재무부 채권을 단기로 너무 많이 발행하여, 트럼프가 자신의 정책의 쓸 돈이 없었거든요 거기에 금리가 인하된다면, 부채에 대한 이자도 줄어드는 효과도 상당하다는 장점들이 있죠 제 개인적인 평을 적자면, 감세정책은 큰 효과를 보기 어려울 겁니다. 경제가 어렵고 불확실성이 늘어나는데 투자를 과감하게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투자를 한다고 하더라도 대규모의 투자가 과거처럼 공화당의 지지층인 미국의 백인 블루칼라의 일자리가 늘기보다 화이트칼라의 일자리가 늘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시로 현대자동차의 미국공장만 해도 전기차공장에 돈을 투자하는데 자동화과정이 40%에 육박합니다. 이는 전세계 평균 자동화과정의 4배에 달하는 수치이며, 이에 대한 관리 및 유지보수에 프로그래머 등의 채용이 늘어날 것이지, 생산을 담당하는 생산직 노동자의 채용은 전보다 못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머스크도 2018년 자동화공정 100%에 도전했다가 실패한 적이 있습니다. 아직 자동화공정에 있어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부분은 많으며, 수많은 자동화공정에 필요한 기계의 오류를 해결하는데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무튼 파월의 임기는 상당히 많이 남았고, 어느 쪽의 파워게임과 정치적인 결정인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것입니다. 그러나 빠르게 대처해도 상반기내에 해결의 실마리는 결코 보이지 않을 것이며, 어쩌면 지속된 문제는 1년이 넘는 시간동안의 해결 불가능한 문제로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 기사 내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326 트럼프 "정치 말고 금리 내려라"…파월 "관세로 인플레·침체 우려 토요일 새벽에 있었던 일들입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50405201805852 美상원, 트럼프 감세정책 뒷받침 예산 결의안 가결…부채한도도 증액 https://www.mk.co.kr/news/business/11277605 차문마저 로봇이 달았다 … 현대차 美서 '완전 자동화' 시동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545440 위기 몰린 머스크 반성문 “과도한 공장 자동화는 실수였다
기억은저편넘어
금 따봉
 | 물류관리·SCM
04.06
조회수
1,344
좋아요
121
댓글
70
아프네요 ㅠㅜ
4월들어 거의 6-7만불의 평가액 날라갔네요 ㅎ 회사 열심히 다니고 앞으로는 버핏형님을 잘 따라야겠네요 ㅠㅜ 4월7일 업데이트: 어허... 더 떨어지고 있습니다 ㅋㅋㅋ 아니 Hang tough라더니... 을마나 더 떨어질려구 ㅋㅋㅋ
꿈꿔라
금 따봉
 | 기술영업·SE
04.04
조회수
2,878
좋아요
104
댓글
100
연금저축 먼저? 개인투자 유지? 고민입니다
30대 직장인입니다. 현재 비트코인과 미국 ETF에 매달 20~30만 원 정도 소액 투자 중입니다. 최근 연금저축에 관심이 생겼는데, 월 50만 원씩 넣어야 연간 세액공제 한도(600만원)를 채운다고 하니 솔직히 좀 부담스럽게 느껴집니다. 연금은 수익률 체감도 어렵고, 중도 인출도 어렵다는 점도 고민이고요. 반면 지금 하고 있는 투자는 나름의 기대감이 있어 당장 줄이기가 망설여집니다. 수익률은 연 5~6% 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개인투자를 줄이고 연금저축에 우선순위를 두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지금은 개인 주식투자를 이어가도 괜찮을까요? 비슷한 고민 해보신 분들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맛없는호박죽
금 따봉
 | 모션·영상 디자인
04.02
조회수
6,869
좋아요
152
댓글
135
오랜만에 들렀네요
여기 분위기가 적대적이라 안 썼는데 부동산에 물려서 울고 있고, AI 투자 안해서 벼락거지 안되신 분들 없죠? 다들 잘 벌고 털고 나오신거죠?? 3년전에 쓴 글들이 많이 도움되었길 바래요 분위기가 너무 적대적이었는데 하하 여기 다시 온 이유는… 미국주식 빅7 있는거 아직도 안 빼셨으면 빼시라고요 분할매수면 상관없는데 ㅎㅎ
기억은저편넘어
금 따봉
 | 물류관리·SCM
04.01
조회수
375
좋아요
4
댓글
8
투표 퇴직금 관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최근에 이직했는데 퇴직금 7,500만원 정도 들어왔습니다. IRP계좌 해지하는경우 예상실수령액 7,300만원이구요. 현재 자가 있는 상태고 아파트대출이 5천정도 있어서 일시금으로 수령 후 미국주식 ETF, 개별주 투자하고 고정금리 만기되는 6월에 대출 상환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모든 분들 소중한 의견 및 조언 감사합니다! 오늘 대출 전액 상환했습니다...마음이 너무 후련합니다 ㅎ
TD21
은 따봉
 | 해외B2B영업
03.29
조회수
2,787
좋아요
82
댓글
58
주식방송 하는 사람들 보면 문자 주라고 하던네
주식 방송 보면 주식 정보 알려 준다고 문자글 보내라고 하던데... 순수하게 정보를 주기 위함일까요? 아니면 다른 용도로 활용?? 홍보? 목적이 뭘까요?
소미옴
쌍 따봉
 | 마케팅 전략·기획
03.27
조회수
1,686
좋아요
77
댓글
73
신혼부부 현금 4억 있는데.. 서울에 매수할만한데가 있을까요?
29살 부부 둘이 합쳐서 현금 4억 있습니다 세후소득은 둘 합쳐 성과급 빼고 800-900사이인거 같구요 근무지가 각각 마포, 여의도라 서울 서쪽이나 5호선 라인이었음 하는데 서울은 힘들겠죠….
소주병
은 따봉
 | 기타 금융직
03.26
조회수
3,319
좋아요
67
댓글
87
마포 에피트 어바닉 매매하려는데 어떤가요
마포 에피트 어바닉 아파트 46타입이 11억 정도 하는데 지금 사면 오를것 같아서요
중개 | 부동산 개발·분양·경매
03.26
조회수
252
좋아요
1
댓글
3
투표 집을 매매 전세 한다면 고층? 중간층? 저층?
집을 매매 전세 한다면 고층? 중간층? 저층? 어떤 게 좋을까요? 신혼 부부인데 2세 계획은 있습니다
소미옴
쌍 따봉
 | 마케팅 전략·기획
03.24
조회수
226
좋아요
2
댓글
8
주식하시는 분들 중에 신용으로 하시는 분들도 계실까요?
다른게 아니라 SK증권에서 약 3달 동안 연 이자 4.25로 인하해준다 하는데 이 정도면 꽤 괜찮은 게 아닌 가 싶어서요 근데 주변에서 신용으로 주식하시는 분들이 거의 없어서 신용으로 하는 게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고객센터는몇시시
은 따봉
 | 기타 마케팅직
03.21
조회수
1,653
좋아요
82
댓글
89
대표전화 : 02-556-4202
06235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4, 5,6,9층
(역삼동, 포스코타워 역삼) (대표자:최재호)
사업자등록번호 : 211-88-81111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16-서울강남-03104호
|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서울강남 제2019-11호
| 유료직업소개사업 신고번호: 2020-3220237-14-5-00003
Copyright Remember & Compan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