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안녕하세요, pm…인지 po인지 난 뭔지..
그냥 8년차입니다.
저는 이직을 많이하지는 않았지만,, 스타트업초기부터 시리즈c까지, 빡세기로 유명한 인하우스, 그리고 DT를 꿈꾸지만 멍청한 레거시 기업을 경험해보니 나름 기준이 잡혀요. 물론 저는 po로 이직할 예정이긴 합니다만…
확실히 레거시기업은 기획자를 밥으로는 경향이 있어요. 그리고 느립니다.
스타트업은 개발조직의 힘이 강해요. 다만 기획자가 개발조직에 포함되어 있어야 스타트업에서도 다양하게 일을 할텐데, 그러려면 po정도로 사업 전반의 리딩을 할 수 있어야겠죠.
인하우스는 사업조직의 힘이 엄청 강해요. 기획자가 서비스 기획만 하는 역할이라면 si업체에서 일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거랍니다.
안녕하세요, pm…인지 po인지 난 뭔지..
그냥 8년차입니다.
저는 이직을 많이하지는 않았지만,, 스타트업초기부터 시리즈c까지, 빡세기로 유명한 인하우스, 그리고 DT를 꿈꾸지만 멍청한 레거시 기업을 경험해보니 나름 기준이 잡혀요. 물론 저는 po로 이직할 예정이긴 합니다만…
확실히 레거시기업은 기획자를 밥으로는 경향이 있어요. 그리고 느립니다.
스타트업은 개발조직의 힘이 강해요. 다만 기획자가 개발조직에 포함되어 있어야 스타트업에서도 다양하게 일을 할텐데, 그러려면 po정도로 사업 전반의 리딩을 할 수 있어야겠죠.
인하우스는 사업조직의 힘이 엄청 강해요. 기획자가 서비스 기획만 하는 역할이라면 si업체에서 일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거랍니다.
BEST음음음 IT기반이 아닌 전통산업으로 성장해온 기업들을 말하고 싶었어요.
요거 읽어보시면 도움 되실듯 해요. 어찌되었든, 전통산업에 데이터 트랜스포메이션을한다! 어쩐다! 혁신이 필요한다! 라고 하면 조금은 얘기가 잠잠해지면 가시거나 다 되면 가시거나 아니면 정말 대단하신분이 가서 부르시면 가시길..
결과적으로 회사가 중요한게 아니라
기획자의 역량이 중요한거같아요.
it 대기업, 스타트업 , 중소기업, 네카라 등을 다녀봤는데
문제를 얼마나 잘 정의하는지
임팩트를 얼마나 잘 내는지에 따라 주도권을 가져오고, 일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
BEST그러게요… 그런거 같아요 ㅋㅋ 근데 조직문화 무시 못하겠더라고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