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영업관리.
영업과 비교할때 성과가 드러나지 않고 내세울것도 없는 영업 서브 부서로 보여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회사의 가장 중요 업무는 관리가 기본입니다. 영업관리와 영업은 1 set 입니다. 관리업무는 한살이라도 젊을때 배우고 익혀둬야 합니다.
글쓴이님 미래 중요 자산이 될겁니다. 승승장구하시길 빕니다.
BEST저는 영업관리지원기획 5년 하고 전략기획직무로 옮겼습니다. 부단히 어려웠지만 동종업계에서 인정을 또 해주더라구요. 스페셜리스트가 아닌 제너럴리스트인걸 어필하고 다양한 데이터 관리를 했다는걸 잘 말했던것 같아요(수정됨)
BEST영업관리 확실히 뭘해도 물경력 처럼 느껴지더라구요 ㅠ 하지만 연차가 쌓일 수록 보람이 크고 사내에서 중요한 직무이기도 합니다.
근무 환경이 어떠신지 몰라 도움이 되실 진 모르기도 하고.. 이미 시도해보셨음직 하실 텐데...
저도 늘 영업지원 중간 관리자로 포지셔닝하고 있어 공감이 돼서 ㅠ 제가 이력서에 기재해온 내용 적어봅니다.
* 저는 주로 체계가 없는 곳, 오픈 매장, 스타트업에 근무했고, 체계를 잡고 중간에서 전반적인 흐름 및 일정을 관리해 높은 효율의 퍼포먼스가 나오는 것을 목표로 일해왔습니다.
* 체계가 아주 명확한 곳이거나 기업규모가 큰 곳을 보신다면 ㅠ 제 말씀이 크게 도움이 못 되어 드릴 수도..
1. 본인이 영업에 있어 솔루션을 제시한 경험 및 실제 유관부서의 성과나, 영업관리 효율이 높아진 경험이 있으면 꼭 쓰기. (가장 어필 많이 됨.)
➰ 1-1. 업무효율을 얼마나 높였는 지 또는 평소 얼마나 효율을 내는 지 임상적으로라도 퍼센테이지, 기간 등을 쓰면 좋고 본인 주도하에 업무효율 높여 매출 증대가 있는 경우 전 후 비교한 퍼센테이지 써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생산(사입)부터 판매 및 사후 처리 단계, 회계 등 까지 본인이 알고 있는 기본 지식, 업무 플로우를 어필. (영업관리는 중간에서 많은 유관부서 심지어 외부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조율하는 위치 일 수 있기 때문.)
3. 업무 효율을 위해 다뤄본 적 있는 프로그램 및 관련 자격증 기재. (ERP, 포스 프로그램 등.)
그리고 지원동기나 실제 인터뷰 할 때
모든 흐름이 효율적으로 관리 될 때 좋은 퍼포먼스가 나오는 경험을 했다. 하면서 윗 분처럼 제너럴리스트이며 이를 위해 많은 연구를 한다고 강조하는 쪽이 좋겠습니다. (수정됨)